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0-11A study on the adjustable speed pumped hydro storage’s impact on the korean electricity market
가변속 양수발전 확충 시 전력시장 파급효과 분석 연구
- 연구책임자
- 조주현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 형태사항
- xii v 80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0-1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77-80)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6272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627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627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627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재생발전원 비중 증가로 인한 발전량 급변 예상되며, 양수발전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 증대됨에 따라 가변속양수발전 설비 도입 계획되었음
- 가변속양수발전 활용시 전력시장 파급효과 분석하고 가변속양수발전 도입에 대비한 정산제도 개선방안 제시하고자 함
□ 결론 및 제언
- 양수발전은 크게 발전량과 발전 중 운영예비력 용량에 대한 대가를 지불받으며, 펌핑시에는 전력을 소비하므로 이에 대해 양수시간의 계통한계가격을 기준으로 비용을 지불함.
- 2019년까지 양수발전의 수익성이 지속적으로 악화되었는데, 이는 차익거래 실현이 불가능한 시장환경 때문인 것으로 설명됨.
- 가변속양수발전 확충에 대비한 보상제도 개선안으로 펌핑운영으로 인한 계통안정성 기여도에 대한 보상 및 예비력 보상제도 개선방안 제안.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2. 연구 목적, 주요 내용 및 차별성
제2장 가변속양수발전의 특징 및 운영현황
1. 양수발전의 원리 및 활용현황
1.1. 양수발전의 원리 및 역할
1.2. 해외 양수발전 운영현황
1.3. 국내 양수발전 운영현황
2. 가변속양수발전의 특징 및 운영현황
2.1 가변속양수발전의 특징
2.2. 해외 가변속양수발전의 운영 및 건설 현황
3. 가변속양수발전 관련 선행연구
제3장 가변속양수발전 활용 시 영향분석
1. 주요 전제
1.1. 분석대상
1.2. 가변속양수발전 관련
1.3. 연료원별 설비 규모
1.4. 재생발전원 발전량
1.5. 수요 관련
2. 저수요 시 변동성재생발전원의 과도발전량 대응 효과
2.1. 분석방법
2.2. 분석가정
2.3. 시나리오 구성
2.4. 분석결과
3. 펌핑 중 예비력 대체 효과
제4장 가변속양수발전 안정적 운영에 필요한 수익확보를 위한 방안 제언
1. 국내외 양수발전 관련 전력 시장제도
1.1, 국내 양수발전의 수익구조와 수익현황
1.2. 해외 양수발전 수익현황
2. 가변속양수발전 확충에 대비한 보상제도 개선안
2.1. 펌핑운영으로 인한 계통안정성 기여도에 대한 보상
2.2. 예비력 보상제도 개선방안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2. 한계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