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21-03Changes in electricity demand and generation pattern in Korea during COVID-19 pandemic

코로나19가 한국의 전력 수급에 미친 영향 분석

연구책임자
김수일
연구참여자
이성재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1
형태사항
viii v 114p
총서사항
KEEI 수시연구보고서 21-03
서지주기
참고문헌(p.99-103)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6842대출가능-
자료실P426843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684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684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코로나19 팬데믹은 경기 침체 및 생활 행태 변화와 더불어 에너지 시장에도 심각한 영향 - 코로나19의 국내 확산이 우리나라 전기 소비량과 소비 패턴그리고 발전 시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 - 한국전력공사와 전력거래소의 시간별 데이터를 이용하여2020년 전기 소비 및 생산을 그 이전 시기와 비교 분석 2.연구 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 전기 소비의 변화 - 우리나라는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지역별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 - 우리나라의 전기 소비는 2019년 525.3 TWh에서 2020년에는 511.6 TWh으로 2.6% 감소 - 연간 최대소비는 2019년 85.4 GW에서 2020년 84.7 GW로0.8% 하락 □ 전기 소비 패턴의 변화 - 2020년 일일 전기 소비 패턴은 2016~2019년 일일 전기 소비패턴 평균에서 상당하게 변화 □ 발전 부문의 변화 - 변동성 재생에너지(variable renewables)의 발전 비중은 아직 낮지만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 - 총발전에서 변동성 재생에너지를 제외한 순부하는 재생에너지 발전이 증가하면서 점차 감소 -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배출은 2018년 정점에 도달한 후 2019년과 2020년 연이어 감소 - 2020년의 계통한계가격은 이전의 계통한계가격에 비해서는뚜렷하게 하락 - 제약 발전 및 제약 비발전은 2020년 크게 증가 - 주파수 조정 서비스, 예비력 서비스 등 전력계통운영 보조서비스에 대한 정산금은 2020년에 크게 감소 3. 결론 및 시사점 - 전기 소비의 감소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활동 부진이 가장큰 원인이긴 하지만, 국내총생산 감소에 비해 감소가 크지 않았음 - 코로나19의 영향과 재생에너지 발전의 증가로 순부하의 감소와 변동성이 확대 - 연간 수치의 변화보다 순간적인 이상 현상이 계통의 안정성에보다 중요 - 온실가스 및 미세먼지 배출은 코로나19라는 외부적 요인보다온실가스 및 미세먼지 정책이 더 큰 영향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및 보고서의 구성 제2장 코로나19 영향에 대한 선행 연구 제3장 전기 소비의 변화 1. 전기 소비 변화에 대한 시각적 분석 2. 주요 지표 2.1. 소비 곡선(부하 곡선) 지표 2.2. 소비 변동성(부하 변동성) 지표 2.3. 소비 패턴 변화 지표 3. 전기소비 주요 지표 계산 결과 4. 기온 효과 제4장 부문별 소비 패턴의 변화 1. 분석 방법 2. 부문별 전기 소비 패턴 지수 3. 마할라노비스 거리를 이용한 세부 업종의 소비 패턴 변화 추정 제5장 발전 부문 1. 재생에너지 발전과 순부하(Net Load) 2. 발전원별 발전량 3. 온실가스 및 미세먼지 배출 4. 전력 시장 가격 5. 예측 오차(day-ahead forecast) 6. 제약 발전 및 제약 비발전 7. 보조서비스 정산 제6장 결론 1. 주요 결과의 요약 2. 결과의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1. 2016~2019년 및 2020년 평균 주간 전기 소비 2. 일일 전기 소비 마할라노비스 거리 추정 결과 3. 제조업 전기 소비 패턴 4. 주택용 전기 소비 패턴 5. 교육서비스 전기 소비 패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