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9-22Analysis on Economic Effect of Renewable Energy Deployment

재생에너지 확대의 국민경제 파급효과 분석

연구책임자
김기환, 서유정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형태사항
vi vi viii 271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9-22
서지주기
참고문헌(p.179-185)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5616대출가능-
자료실P425617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561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561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는 2015년 산업연관표(한국은행)에 태양광과 풍력 발전업을 설정하고, 해당 발전업의 거래액을 추정하여 2015년 태양광-풍력-산업연관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2015년의 태양광과 풍력의 발전 부문, 건설 부문, 제조 산업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RAS 방법론을 적용하여 2020년, 2030년 연장표를 추정하여 2020년, 2030년 태양광-풍력-산업연관표를 구축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2020년과 2030년의 태양광과 풍력의 발전, 건설, 제조 산업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 제2장 문헌분석 ········································································· 1. 산업연관분석 모형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파급효과 선행 연구 소개 1.1. 산업연관표의 신재생에너지산업 설정방안 연구 1.2. 태양광발전설비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분석 1.3. 재생에너지 발전과 화력발전과의 비교 분석 1.4. 일본 재생에너지 및 스마트그리드 산업연관표 개발 연구 1.5. 미국 재생에너지 및 화석연료의 고용 효과 비교 연구 1.6. 국내 재생에너지정책의 파급효과 연구 1.7. 일본 풍력 발전의 경제적ᄋ환경적 평가 1.8. 소규모 재생에너지 발전 기술과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2. 연산가능일반균형 모형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파급효과 선행 연구 소개 2.1. 유럽연합의 재생에너지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2.2. 캐나다 발전차액지원제도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2.3. 독일 발전차액지원제도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2.4. 독일 재생에너지 지원제도의 효과 비교 연구 2.5. 중국 대규모 재생에너지 개발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3. 에너지 환경 부문 DSGE 선행 연구 소개 4. 소결 제3장 태양광-풍력-산업연관표 작성 근거 1. 산업연관분석 기본이론 1.1. 산업연관표 개요 1.2. 산업연관표의 작성 방식 1.3. 산업연관표 작성 이론 · 2. 기초자료 2.1. 산업연관표 2.2. 선행연구 및 설문 자료 · 2.3. 신재생에너지 산업통계 2.4. 전력통계 자료 3. 태양광 및 풍력 부문 분할 3.1. 투입 구조를 고려한 분할 작업 3.2. 수요 구조를 고려한 분할 작업 제4장 태양광 및 풍력 분리 산업연관표 결과 1. 태양광 산업 분할 결과 2. 풍력 산업 분할 결과 제5장 태양광 및 풍력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1. 산업연관분석 이론 1.1.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이론 1.2. 간접 방식에 의한 산업연관표 작성방법 2. 2015년 태양광 및 풍력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2.1. 발전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2.2. 제조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2.3. 건설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3. 2020년, 2030년 태양광 및 풍력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3.1. 발전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3.2. 제조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3.3. 건설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