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21-09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의 에너지 정의(Energy Justice) 논의와 정책적 시사점

Concepts and Case Studies on Energy Justice for Just Transition

연구책임자
이수민
연구참여자
김현제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1
형태사항
vii v 94p
총서사항
KEEI 수시연구보고서 21-09
서지주기
참고문헌(p.87-94)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7020대출가능-
자료실P42702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702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702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세계 각국의 탄소중립(Net-zero) 선언으로 향후 수십 년간 에너지산업의 구조적 변화가 예측되는 상황에서 에너지 정의 관점에서 에너지 전환을 살펴볼 필요가 있음. ○ 해외에선 2010년대 중후반부터 에너지 정의의 개념이 등장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에너지 정의에 대한 논의 부족 □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에서 에너지전환 시기와 맞물려 널리 이용되고 있는 에너지 정의의 개념을 정리하고 관련 논의 및 사례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에너지전환 정책 시행에 있어 에너지 정의가 반영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음. 2. 연구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 에너지 정의 담론 등장 배경 및 개념 ○ ‘에너지 정의(Energy Justice)’는 환경정의 담론이 확장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등장했으며, 분배적·절차적·인정적 정의라는 핵심적인 가치 요소에 기반해 에너지 정의를 개념화할 수 있음. ○ 가장 보편적인 분배적·절차적·인정적 정의의 구분을 통한 에너지 정의 개념화 접근법 이외에도 에너지 정의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며 새로운 시각들이 추가되고 있음. □ 에너지 정의 관점에서 논의된 해외사례 선행연구 분석 ○ 에너지 정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코소보에 적용하여 수년간의 갈등 끝에 경제 및 에너지 부문을 개발하는 국가의 사례를 에너지 정의 측면에서 분석함(Lappe-Osthege and Adreas, 2017). 에너지 정의의 적용은 프로젝트 개발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투명성을 보장하고 국가의 경제, 환경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포괄적인 예측을 가능케 하기에 분쟁 지역의 미래를 위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분석함. ○ 유럽의 에너지 규제 시스템 관련 이슈를 보편적 정의와 특정적 정의 개념을 통해 분석함(LaBelle, 2017). 민간 부문의 이윤창출을 극대화하며 에너지 시장에서 일관적이고 보편적인 규범을 제공하기 위해 창설된 EU의 독립 규제기관과 에너지 빈곤 타파를 위해 보편적 정의 대신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특정적 정의를 고려한 동유럽 국가의 사례를 비교하여 에너지 정의 분석 시 지정학적 배경이 반영되어야 함을 분석함. □ 에너지 정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국내 사례 분석 ○ 에너지전환 정책 도입으로 타격을 입은 충청남도 지역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사례를 에너지 정의 관점에서 해석 ○ 제주도의 전기차 보급 확대로 인한 관련 업계 사례 검토 3. 시사점 및 결론 □ 탄소중립 선언 후 급변하는 에너지산업에 있어 정부는 에너지 전환의 속도를 조절하며 특정 집단이 받을 피해를 최소화 하는 정책을 펼쳐야 할 것으로 보임. ○ 에너지전환 과정에서 에너지 정의 측면을 고려하기 위해 관련 정책 입안 과정에서 에너지전환으로 타격받는 모든 이해관계자의 처지를 반영할 방안을 마련해야 함. ○ 에너지전환으로 인한 산업구조 개편 시 어느 사회구성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 편익을 계산해야 함. ○ 에너지 정의 논의에 있어 한국을 넘어선 세계주의적 정의 측면의 고려가 필요함.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에너지 정의의 등장 배경 및 개념 1. 에너지 정의 관련 기존 담론들 1.1. 환경정의 1.1.1. 환경정의의 등장과 확산 1.1.2. 환경정의의 개념 1.1.3. 한국에서의 환경정의 담론 1.2. 기후정의 1.2.1. 환경정의에서 기후정의로 1.2.2. 기후정의의 개념 2. 에너지 정의에 대한 이해 2.1. 에너지 정의에 관한 담론의 형성 과정 2.2. 에너지 정의의 고유성과 핵심가치 2.2.1. 에너지 정의와 환경·기후정의의 차별성 2.2.2. 에너지 정의를 구성하는 세 가지 핵심 가치 2.2.3. 에너지 정의의 개념화 - 8가지 원칙에 기반한 접근법 2.3. 에너지 정의 개념에 대한 다양한 시각 2.3.1. 인정적 정의 vs. 절차적 정의 2.3.2.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의 등장 2.3.3. 세계주의 관점(Cosmopolitan Perspective) 2.4. 최신 논의에 기반한 에너지 정의 프레임워크 3. 에너지 정의의 측정 3.1. World Energy Council의 에너지 트릴레마 지수(Energy Trilemma Index) 3.2. 에너지 정의 메트릭(Energy Justice Metric) 제3장 에너지 정의 관점에서 논의된 해외사례 1. 에너지 정의 사례분석: Kosovo C 프로젝트 1.1. 코소보 배경 1.2. 절차적·인정적 정의 측면 1.3. 분배적 정의 측면 1.3.1. 사회적 영향 1.3.2. 경제적 영향 1.3.3. 환경적 영향 1.4. 시사점 2. 보편적 정의와 특정 정의 사례 2.1. 보편적 정의: 유럽의 규제기관 2.2. 특정적 정의 사례 2.3. 시사점 제4장 에너지 정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국내 이슈 1. 충남지역 화력발전소 폐쇄에 따른 사례 논의 1.1. 충청남도 지역 화력발전소 폐쇄 배경 및 현황 1.2. 에너지 정의 관점에서의 해석 및 정책적 시사점 2. 제주도 전기차 도입으로 인한 사례 논의 2.1. 제주의 전기차 도입 배경 및 현황 2.2. 제주 전기차 도입의 외부효과와 정책 대응 2.2.1. 긍정적 효과: 배터리 재활용 ESS 활용 산업 육성 2.2.2. 부정적 효과: 내연기관차 연관산업 피해 2.3. 에너지 정의 관점에서의 해석 및 정책적 시사점 제5장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