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3-03(A) Study on establishment of chemical action plan for enhanced utilization of risk assessment in policy making(Ⅰ)
위해성평가의 정책적 활용도 제고를 위한 화학물질 Action Plan 수립 연구(Ⅰ)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156 p. 도표 그래프 25 cm
- 총서사항
- KEI 연구보고서 2013-0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15-118)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89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89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주요내용 및 방법
3. 연구의 추진체계
제2장 국내 위해성평가 현황 및 정책적 활용도 조사
1. 국내 위해성평가 보고서 현황
가. 화학물질 위해성평가 보고서 현황
나. 위해성평가 보고서 구성 관련 사례 분석
2. 국내 정책 반영 관련 사례
3. 정책적 시사점
제3장 국외 위해성평가 현황 및 정책 활용도 제고 수단 조사
1. 위해성평가/정책 반영 절차 및 현황
가. OECD
나. 캐나다
다. 일본
라. 미국
마. EU
2. 국내외 위해성평가 관련 정책 제언 비교
가. 대상 화학물질 현황 비교
나. 화학물질 위해성평가 관련 보고서의 정책 제언 비교
3. 정책적 시사점
제4장 화학물질 Action Plan 작성 방법론 제안
1. 국내 도입의 필요성
가. 표준화된 위해성평가 보고서 체계 확립
나. 화학물질 위해성평가 정책 제고 수단 마련
다. 화평법 체계와 연계한 화학물질 관리
2. 화학물질 Action Plan의 기본 틀 제안
가. 기본 구성 요소 도출 나. 화학물질 Action Plan 기본 틀
제5장 결론 및 향후 추진 방향
1. 결론
2. 향후 추진 방향
참고문헌
<부록 1> 위해성평가 실시 대상 환경유해인자 종류
<부록 2> 국가우선관리물질(100종)
<부록 3> EU의 인체와 환경에 대한 위해성평가 결론
<부록 4> 미국 Chemical Action Plan 수립 물질
<부록 5> 위해성평가 물질 비교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