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3-657Korean policy issues in the age of bioeconomy
바이오경제시대의 정책과제
- 발행사항
- 서울 산업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276 p. 도표 그래프 24 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3-657
- 서지주기
- 참고문헌(p.250-257) 수록
- 키워드
- 생물산업, 바이오, Biotechnology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97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97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제2장 바이오경제 개념과 글로벌 현황
1. 바이오경제의 개념
2. 바이오경제시대를 이끈 환경 변화
3. 바이오경제시대의 주요 이슈
4. 글로벌 바이오경제 현황과 정책 변화
(1) 글로벌 바이오경제의 성장
(2) 바이오경제 수요역량 확대 정책
(3) 바이오경제 공급역량 확대 정책
제3장 한국 바이오경제의 현황과 문제점
1. 총체적 현황
(1) 한국과 세계의 바이오산업 투자 동향과 분야별 불균형 문제
(2) 한국의 바이오경제 실현 가능성
(3) 바이오산업 투자 성과 : 작은 산업 규모와 연구개발 투자의 비효율성
(4) 성과 부진의 주요인 : 낮은 사회적 수용성 문제
2. White바이오산업
(1) 수요현황
(2) 공급현황
(3) 정부현황(법ㆍ규제)
3. Red 바이오 산업
(1) 수요현황
(2) 공급현황
(3) 정부현황(법ㆍ규제)
4. Green바이오산업
(1) 수요현황
(2) 공급현황
(3) 정부현황(법ㆍ규제)
5. 소결 및 시사점
제4장 한국 바이오경제 방향 설정을 위한 고찰
1. 바이오경제에 대한 한국의 사회적 수용성 현황
2. 바이오경제 생태계 분석 틀
(1) 바이오경제 활성화 모델
(2) 수요조건(Demand Condition)
(3) 공급조건(Supply Condition)
(4) 바이오시장 규모와 모델상의 위치
3. 우리나라의 공급조건과 수요조건
(1) 설문을 통해 나타난 공급조건 대비 수요조건
(2) 분석 결과의 모델상 위치와 전략적 시사점
제5장 바이오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1. 바이오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2. 세부 정책과제
(1) 정부 조직 효율성 제고 : 바이오경제 거버넌스 체계 재구축
(2) 수요역량 확대 : 사회적 사회적 수용성 제고를 전략적으로 지원
(3) 공급역량 제고 : 전략적 산업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
(4) 공급역량 제고 : 산업성장형 규제정책 확대
(5) 글로벌 혁신 역량 확보 : 글로벌 경영자원을 활용한 개방형 산업발전 촉진
참고문헌
부록 : 설문지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