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3-687Strategy for supporting green industry and environmental mainstreaming in developing countries
개도국의 녹색산업 및 환경주류화 지원전략 연구
- 발행사항
- 서울 산업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217 p. 도표 그래프 24 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3-687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96-204) 수록
- 키워드
- 저탄소 녹색성장, 녹색경제, 녹색뉴딜, 녹색산업, Green Economy, Green New Deal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97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97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배경 및 목적
2. 선행 연구와의 차이
3. 방법 및 구성
제2장 환경 및 기후변화 분야 개발협력 현황
1. 지원의 당위성과 개념
2. 지원특성과 현황
(1) 섹터와 범분야로서의 환경 협력
(2) 개발협력의 환경주류화
제3장 개도국 지원대상의 녹색산업 분석
1. 해외의 녹색산업 정의 및 분류 사례
(1)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3) 유럽위원회(EU)
(4) 미국 환경비즈니스인터내셔널(EBI)
(5) 유엔공업개발기구(UNIDO)
2. 우리나라 녹색산업 개념의 변천
(1) 녹색산업 개념에 관한 연구
(2) 녹색산업 개념에 관한 정부의 관점
3. 종합 및 분석 대상 범위
제4장 개도국의 녹색산업 수요 분석
1. 녹색산업의 시장 수요 분석
(1) 아세안
(2) 아프리카
(3) 라틴 아메리카
2. 국가개발계획 내 녹색산업의 수요 분석
(1) 베트남
(2) 캄보디아
제5장 녹색산업 지원의 전략적 우선순위 선정 프레임 워크
1. 방법론 개관
(1) UNFCCC의 기술수요분석(TNA)
(2) 우선순위 선정 프레임워크의 개발
2. 우선순위 결정기준
(1) 개발협력 및 녹색기술 지원 평가기준 사례 분석
(2) 기준 선정
3. 기준의 가중치 도출
(1) 계층 분석법(AHP)
(2) 설문조사 및 분석결과
제6장 우선순위 선정 프레임워크의 적용 사례
1. 녹색산업 지원 대상 국가 선정 : 베트남
2. 지원 우선순위 섹터/기술의 확인
3. 선정된 기술/프로그램의 지표별 점수 책정
4. 대안프로그램 간 최종 우선순위 결정
5. 우선순위 선정 프레임워크 적용의 의의와 한계점
제7장 녹색산업 개발협력 전략과 시사점
1. 정책과제와 시사점
(1) 국내 녹색산업 관련 민간부문의 개발협력 사업에 대한 이해부족
(2) 성장과 연결되는 녹색산업에 대한 개도국의 인식 부족
(3) 국내 녹색산업 개발협력 전문가의 저변 협소
2. 녹색산업 개발협력전략의 기본 틀
3. 전략의 정책제언
(1) 성장과 빈곤감소가 강조된 보편적 가치로서 녹색성장 달성추구
(2) 개도국 주체의 녹색산업 활성화
(3) 개도국 녹색산업 수요의 이해 증진과 발굴에 적극 참여
(4) 계획 단계부터 환겨 ㅇ이슈를 고려하는 순환형 지원 추구
(5) 사업의 지속가능한 추진을 위한 투자 방안 모색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