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PA 연구보고서 2013-04Utilization of big data for realization of Gov. 3.0
정부3.0실현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방안
- 저자
- 이재호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xx 221 p. 도표 그래프 26 cm
- 총서사항
- KIPA 연구보고서 2013-04
- 서지주기
- 참고문헌(p.212-221)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94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94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행정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도전
제2절 연구필요성 및 연구목적
제3절 연구내용 및 방법
제4절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정부3.0의 이론적 고찰
1. IT패러다임의 변화와 영향
2. 정부3.0의 개념과 특징
3. 정부3.0을 통한 정부 모형
제2절 빅데이터의 발전
1. 빅데이터의 부상
2. 빅데이터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빅데이터의 기회와 과제
4. 공공부문의 빅데이터 범위와 의의
제3절 선행연구
1. 국내 관련 선행연구
2. 국외 관련 선행연구
3. 시사점
제4절 정부3.0과 빅데이터
1. 정부3.0과 빅데이터와의 관계
2. 국내외 빅데이터 활용 사례
제5절 연구분석틀
제3장 빅데이터 현황분석
제1절 시스템 구축 현황
1. 기술개발 현황
2. 법·제도 현황
제2절 조직운영 현황
1. 빅데이터마스터플랜 수립 배경 및 현황
2. 빅데이터마스터플랜과 정부3.0
3. 정부3.0과제 중 빅데이터 세부이행과제
제3절 조직구조 현황
1. 정부3.0추진체계
2. 중앙 및 지방정부의 빅데이터 조직구조
제4절 국외 빅데이터 추진 현황
1. 미국
2. 일본
3. 영국
4. 호주
5. 유럽연합(EU)
6. 소결
제4장 빅데이터 활성화 관련 실태조사
제1절 공무원 및 전문가 대상 심층조사 분석결과
1. 공무원 및 전문가 조사설계
2. 분석결과
제2절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AHP 조사
1. AHP 조사개요
2. 분석 결과
제3절 정책적 함의
제5장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제1절 빅데이터 활성화 방향
1. 방향
2. 원칙
제2절 분야별 정책 제언
1. 인프라구축
2. 조직운영
3. 조직구조
제3절 세부대안: 빅데이터 조직관리 매뉴얼(안)
1. 목표의 정의
2. 빅데이터 조직구축
3. 빅데이터 핵심규범 정립
4. 기술지원
제6장 결론
제1절 요약
제2절 향후 연구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