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P 연구보고서 14-25Appropriate Technology in African Development Cooperation
적정기술 활용을 통한 對 아프리카 개발협력 효율화 방안
- 발행사항
-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176 p. 도표 그래프 24 cm
- 총서사항
- KIEP 연구보고서 14-25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77-186)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38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38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ㆍ범위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제2장 아프리카 개발협력과 적정기술
1. 아프리카의 개발원조와 경제발전
가. 개발원조의 효과
나. 아프리카 저개발의 복잡성
2. 주요 부문별 개발환경
가. 에너지(전력) 인프라
나. 농업
다. 식수 및 위생
3. 적정기술에 대한 고찰
가. 적정기술 개념 및 등장 배경
나. 적정기술의 특징
4. 對아프리카 적정기술 개발협력 의의
제3장 국제사회의 對아프리카 적정기술 활용사례 및 특징 분석
1. 정부 원조기관
가. 미국: USAID(미국 국제개발청)
나. 독일: GIZ(독일국제협력공사)
다. 영국: DFID(국제개발부)
라. 일본: JICA
2. 민간부문(기업ㆍ학계ㆍ연구소ㆍNGO)
가. 미국: SANREM
나.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MIT)의 디랩(D-Lab)
다. 미국: 킥 스타트(Kick Start)
라. Practical Action(영국 NGO)
3. 국제기구
가. UNICEF
나. 세계은행
다. 국제농업개발기금(IFAD)ㆍ국제열대농업센터(CAIT)ㆍ국제개발연구센터(IDRC)
4. 주요 특징 및 시사점
제4장 한국의 對아프리카 협력유망 적정기술 분야
1. 농업
가. 유기질 비료 제조기술
나. 소규모 관개기술
다. 수확 후 관리기술(Post-Harvest Management Technology)
2. 에너지
가. 태양광에너지
나. 바이오에너지
3. 식수 및 위생
가. 빗물활용 기술: 빗물의 식수화
나. 정수처리 기술: 식수 위생
다. 오폐수 및 폐기물 처리 기술
4. 중소 제조기술
가. 섬유산업 기술
나. 가죽가공 기술
제5장 한국의 對아프리카 적정기술 활용방안
1. 분석내용 요약 및 시사점
가. 분석내용 요약
나. 한국에의 시사점 및 기본적 고려사항
2. 적정기술 활용 BOP 시장 진출
가. 아프리카 BOP 시장 규모
나. 주요국의 아프리카 BOP 시장진출 사례 및 특징
다. 아프리카 BOP 시장 접근 전략
3. 적정기술을 활용한 사회적 기여(CSR)
가. 주요 분야별 적정기술 활용 CSR 사례
나. 적정기술 활용 CSR 확대
제6장 맺음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