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P 전략지역심층연구 16-07The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and Foreign Relation of Iran
신중견국 이란 대외관계의 구조적 메커니즘과 경제발전전략
- 발행사항
-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 형태사항
- 281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P 전략지역심층연구 16-07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433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433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방법 및 동향
가. 연구방법
나. 국내연구 동향
다. 문헌조사, 심층면접, 현지 조사의 병합
제2장 국제체제의 구조적 변동과 중동
1. 국제체제 변동에 관한 신현실주의적 접근
2. 중동지역 재구조화의 국제정치?경제학
가. 19세기 이전
나. 19세기 유럽 제국주의(19세기 초~1차 세계대전)
다. 국가시스템의 출범(1914~50년)
라. 민족국가 건설과 냉전(1950~90년)
마. 탈냉전과 새로운 중동 질서
3. 중동지역체제의 변화과정과 메커니즘, 그리고 이란
4. 이란의 중견국 모형의 적용가능성
5. 소결
제3장 이란과 미국의 전략적 관계 패턴
1. 양자관계의 역사성
가. 20세기 초: 냉전 시작 전
나. 냉전기
다. 탈냉전기
2. 양자관계의 결정요인
가. 지정학적 요인
나. 경제적 요인
다. 에너지 요인
라. 이란의 국내정치 요인
3. 이란의 핵프로그램과 양국관계
4. 소결
제4장 이란과 러시아의 전략적 관계 패턴
1. 양자관계의 역사성
가. 근대~냉전 이전 시기
나. 냉전기
다. 냉전 해체 이후
2. 양자관계의 결정요인
가. 지정학적 요인
나. 에너지 및 경제적 요인
다. 미국요인
라. 국내정치적 요인
3. 이란의 핵프로그램과 러시아
4. 소결
제5장 이란과 EU의 전략적 관계 패턴
1. 양자관계의 역사성
가. 냉전기 및 탈냉전기
나. 이란혁명 이후 초기(1979~89년)
다. 긴장완화 및 신뢰회복기(1989~97년)
라. 관계확장 시기(1997~2002년)
마. 핵프로그램 이후(2002년~)
2. 양자관계의 결정요인
가. 지정학적 요인
나. 경제적 요인: 교역 관계 및 제재
다. 에너지요인
라. 국내 및 대외적 요인(미국)
3. 이란 핵문제 해결과 EU
4. 소결
제6장 이란의 거시재정구조와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전략
1. 이란의 거시경제, 재정, 그리고 산업 및 무역 구조
가. 이란의 거시경제 현황
나. 이란의 재정과 2016년 예산안
다. 이란의 산업 및 무역 구조
2. 산유국 경제의 거시?재정 이슈
3.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을 위한 이란의 전략
가. 경제제재 해제 이후의 발전전략(제6차 5개년 개발계획)
나. 이란의 산업구조 재편과 한국과 이란의 산업협력방안
1) 이란의 산업구조 재편
2) 한국과 이란의 산업협력방향
4. 소결
제7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