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IEP 연구자료 16-09Cross-border Projects and Financial Cooperation in the Northeast Asia: Focusing on the Northeastern Chinese Province

동북아 초국경 인프라 개발과 재원조달: 중국 동북지역을 중심으로

발행사항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형태사항
170p. 삽도 24cm
총서사항
KIEP 연구자료 16-09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425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425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및 방법 제2장 동북아 초국경 인프라 개발 연구 1. 동북아 인프라 개발 투자액 추정 가. 거시적 투자액 추정 나. 미시적 투자액 추정 다. 평가 2. 동북아 초국경 인프라 개발 구상 및 장애요인 가. 동북아 인프라 개발 구상 나. 국가별 초국경 인프라 건설 다. 동북아 인프라 개발 재원조달 제3장 초국경 인프라 개발의 전개 과정 1. 중국 동북 3성 인프라 개발 개요 가. 지린성: 두만강 유역 개발을 중심으로 나. 랴오닝성: ‘5점 1선’ 전략을 중심으로 다. 헤이룽장성: 룽지앙 경제벨트 추진을 중심으로 2. 중·러 초국경 인프라 현황 가. 개요 나. 통상구 다. 교통 인프라 라. 에너지 자원 마. 관광 인프라 바. 장애요인 3. 중·몽 초국경 인프라 현황 가. 통상구와 교통 인프라 나. 장애요인 다. 향후 과제 4. 중·북 초국경 인프라 현황 가. 통상구 나. 도로, 항구 다. 경제특구 인프라 라. 장애요인 제4장 재원조달 특징과 다자금융협력 현황 1. 동북아 초국경 인프라 건설의 재원조달 특징 2. 동북아 다자금융협력 현황 3. 다자개발은행(MDB)의 동북아 개발 현황: ADB 사례 가. ADB 사업 방식 나. ADB 인프라 투자 현황 다. 동북아 개발사업 추진 실적 라. 소결 제5장 요약 및 결론 1. 요약 2. 최근 동향과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