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연구보고서 2013-07Innovation in National Rqqqamp;D Mechanism: Recommendations for Deliveryof the Creative Economy
국가연구개발체제 혁신방안 연구: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제언
- 발행사항
-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340 p. 도표 24 cm
- 총서사항
- 연구보고서 2013-07
- 서지주기
- 참고문헌(p.326-332)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26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26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국가연구개발체제의 진단
제1절 서 론
1.연구의 배경과 목적
2.분석의 관점
제2절 국가 R&D 투입 분석
1.연구개발비
2.연구자
3.연구자 1인당 연구개발비
제3절 국가 R&D 산출 및 성과 분석
1.논 문
2.특허
3.기술이전 및 사업화
제4절 국가연구개발체제의 진단
1.국가연구개발체제 전반의 현황
2.국가연구개발체제의 주요 이슈
제5절 국가연구개발체제 혁신을 위한 제언
1.논의 결과 종합
2.국가연구개발체제 혁신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제2장 고위험·고가치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국가전략: K-ARPA 도입을 중심으로
제1절 서 론
제2절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이와 고위험·고가치 연구
1.고위험·고가치 연구의 정의
2.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이
3.학제 간 연구, 연구자 기반 연구 및 협력(국제협력)연구
제3절 고위험·고가치 연구 활성화를 위한 국가전략
1.고위험·고가치 연구를 가로막는 세 가지 원인
2.고위험·고가치 연구 활성화를 위한 일반?특수 트랙 전략
제4절 K-ARPA(가칭)의 도입
1.미국 DARPA의 사례
2.K-ARPA 도입을 위한 제언
제5절 결 론
참고문헌
제3장 수요기반 혁신정책의 내용과 시사점: 유럽의 공공혁신조달 사례를 중심으로
제1절서 론
제2절수요기반 혁신정책의 정의와 유형
1.수요기반 혁신정책의 정의
2.수요기반 혁신정책의 유형
제3절 우리나라 R&D 시스템상에서 수요기반 혁신정책의 필요성
1.우리나라 혁신체계의 특징
2.우리나라 R&D 시스템의 수요 지향성
3.수요 지향성 강화의 필요성: 파스퇴르의 四分面(Pasteur’s Quadrant)관점
제4절 EU의 공공혁신조달 사례 분석
1.PPI의 등장 배경
2.PPI의 의의, 유형 및 프로세스
3.우리나라의 공공혁신조달 현황
제5절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연구 결과 종합
2.정책제언
참고문헌
제4장 민간 R&D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중소기업 R&D 보조금이 기업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제1절 서 론
제2절 국내 중소기업 R&D 지원 프로그램 현황과 예산 규모
1.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프로그램 현황
2.민간부문 R&D 투자 현황 및 중소기업 R&D 지원 예산
제3절 중소기업 R&D 보조금 효과성 실증분석
1.연구 문제
2.선행연구 검토
3.모 형
4.자료 및 실증분석 변수 설명
5.용량반응함수(Dose-Response) 추정 결과
제4절 결 론
1.정책적 시사점
2.분석의 한계
참고문헌
제5장 한국 연구대학의 팽창과 한계: 박사학위과정을 중심으로
제1절 서 론
1.연구의 배경
2.연구 목적 및 내용
제2절 국내 박사학위과정의 확대
1.신규 학위자의 증가
2.학위 수여 기관의 팽창
3.연구대학 경쟁력 비교
제3절 국내 연구대학 분류와 연구활동 추이
1.선행연구
2.연구대학 분류
3.주요 연구활동 추이
제4절 논의 및 시사점
1.요약 및 논의
2.시사점
3.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