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STEPI 정책연구 2015-20Post-Unification Sqqqamp;T Consolidation between South and Korea Koreas

통일 이후 남북한 과학기술체제 통합방안

발행사항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형태사항
128 p. 삽화 도표 24cm
총서사항
STEPI 정책연구 2015-20
서지주기
참고문헌 (p.119-124)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400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400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요 약 i 제1장 서론 및 이론적 근거 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3 제2절 연구 범위와 추진방법 4 1. 연구 범위 4 2. 연구 추진 방법 7 제3절 이론적 근거 : 국가혁신체제론과 시스템 전환 이론 8 1. 국가혁신체제론과 본 연구에의 적용 8 2. 시스템 전환 이론과 본 연구에의 적용 15 제2장 분단 70주년 회고 : 북한의 국가혁신체제와 특성 21 제1절 국가혁신체제의 태동과 발전 22 1. 기반 건설(1945~1960) 23 2. 사회주의 공업화 완성(1961~1970) 26 3. 자립성과 주체성 강화(1971~1986) 28 4. 개혁 시도와 침체(1987~1998) 29 제2절 1990년대 말의 국가혁신체제 전환 31 1. 강성대국 추진과 국가과학원 개편 31 2. 과학기술계획 주력과제 변화 41 제3절 응용분야의 기업 혁신활동 증가 42 1. 기술혁신 분석 42 2. 중앙과학기술축전 참가과제 분석 45 제3장 남북한 혁신체제 연계성 및 강화 방향 51 제1절 최근의 북한 혁신체제 변화와 특성 51 1. 김정은 시대의 과학기술정책 변화 52 2. 주요 분야별 동향 54 3. 주요 특성 및 향후 전망 63 제2절 한국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 특성 66 1.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구성 67 2. 연구개발 특성 68 제3절 남북한 혁신체제 연계성과 강화 방향 72 1. 북한 연구기관과의 연계성 72 2. 남북한 혁신체제 연계성 강화방향 74 제4장 외국 사례 분석 : 동서독 과학기술체제 통합과 시사점 79 제1절 동독의 과학기술체제 80 제2절 통일 이후 동독 과학기술체제의 전환 83 1. 비대학분야 연구기관의 기능별 재배치 및 연구기관의 동질화 83 2. 대학의 구조조정 및 연구기능 강화 85 3. 산업의 민영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 87 4. 연구개발 인력 유지 및 신규고용 추진 88 5. 후속조치 89 제3절 평가 및 시사점 92 1. 구동독 지역의 과학기술체제 현황 92 2. 시스템 전환의 동질화 실패 요인 94 3. 시사점 98 제5장 통일 이후 남북한 과학기술체제 통합방안 101 제1절 통합 방향과 체계적인 통일준비 102 1. 통합 방향 102 2. 체계적인 통일 준비 106 제2절 통일 직후의 혁신체제 통합방안 108 1. 통일 직후의 비상조치 108 2. 북한 지역 혁신체제 전면조사와 분석, 평가 109 3. 혁신체제 구성요소 통합과 방향 전환 110 4. 인력양성체제 통합 115 제3절 중장기 혁신체제 강화방안 116 1. 단기 통합조치 수정 및 보완 116 2. 남북격차 해소사업 추진 116 3. 혁신체제 개선과 국가과학기술계획 개편 117 4. 학문 후속세대 양성과 국제화 117 5. 북한 우위, 특화산업 육성과 지원 거점 구축 118 참고문헌 119 Summary 125 Contents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