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6-799
2013년도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 작성과 분석
- 발행사항
- 세종 산업연구원 2016
- 형태사항
- 185p. 도표 그래프 24 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6-799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36-140)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428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428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및 연구구성
제2장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의 작성
1.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의 작성 개요 및 산업분류
(1)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 작성 개요
(2) 산업분류 및 분할범위
2.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의 작성절차
제3장 대·중소기업의 구조 분석(2012~2013년 비교를 중심으로)
1. 대·중소기업의 국민경제적 위치 분석
(1) 경제의 수급구조상 대·중소기업의 위치
(2) 산업구조상 대·중소기업의 위치
2. 대·중소기업의 산업별 구조 분석
(1) 투입(중간투입률, 부가가치율, 국산화율) 구조
(2) 수요(중간수요, 최종수요) 구조
(3) 대외거래(수출률, 수입비율) 구조
(4) 고용구조
3. 대·중소기업 간 산업연관계수 분석
(1) 대·중소기업 간 유발계수
(2) 대·중소기업 간 전후방 연관계수
제4장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를 활용한 응용연구
1. 중소기업의 수출 기여도
(1) 간접수출 vs. 수출 기여도
(2) 중소기업의 수출 기여도 분석 모형
(3) 중소기업의 수출 기여도
2. 낙수효과에 대한 논의와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의 응용분석
(1) 낙수효과(落水效果)
(2) 낙수효과(落水效果) 분석 모형
(3) 낙수효과(落水效果) 분석 결과
제5장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