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446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446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2. 연구 대상, 방법 및 범위
(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2) 연구방법
3.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제2장 국내 신재생에너지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1. 신재생에너지산업의 국내외 현황
(1) 세계 신재생에너지산업 추이
(2)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 및 시장 현황
2. 국내외 문제점 및 이슈
(1) 최근 글로벌 추세와 우리의 대응
(2) 글로벌 뉴노멀과 국내적 수용
(3) 국내 문제점 및 이슈
3. SD, GIS 및 실태조사를 위한 스토리 라인
제3장 신재생에너지산업 시스템다이내믹스 모형 구축 및 분석
1.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대한 시스템다이내믹스 모형 개발 사례 연구
(1)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대한 시스템다이내믹스 적용 동향
(2) 국내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정책 비교 연구 사례
2. 신재생에너지산업 분석을 위한 시스템다이내믹스 모형 구축
(1) 시스템다이내믹스 모형 구축 방향
(2) 인과지도 설정
(3) 입력 데이터
3. 신재생에너지산업 시나리오 분석
(1) 시나리오 구조 설계
(2) 기본 시나리오
(3) 저성장 시나리오
(4) 정부정책 강화 시나리오
(5) R&D 강화 시나리오
(6) 통합시나리오
(7) SD분석 결과의 한계 및 추후 과제
제4장 경제지리분석(GIS)을 통한 국내 태양광 및 풍력산업 성장성 분석
1. 개요
(1) 분석 목적
(2) 주요 내용
(3) 주요 분석기법
2. 신재생에너지산업 부문별 성장성 분석
(1) 태양광산업 부문별 기업 활동 분석
(2) 풍력산업 부문별 기업 활동 분석
3. 태양광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4. 태양광 지역특화산업 지원정책의 효과 분석
5. 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육성사례의 시사점
(1) 광역시도 독자적 지역산업육성 정책의 공간적 연계 강화 필요
(2) 산업육성 지원정책의 공간적 파급효과 분석 필요
(3) 장소중심의 지역정책 수립을 위한 GIS 기법 적용의 필요성 인식 제고
제5장 신재생에너지 기업의 뉴노멀 대응 실태 조사 및 정책 시사점
1. 조사의 개요
2. 뉴노멀에 따른 기업 환경 변화
(1) 기업 환경
(2) 글로벌 수요 등 기업 환경 변화
3. 뉴노멀의 영향
(1) 전반적 영향
(2) 뉴노멀이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4. 뉴노멀에 대한 대응
(1) 전반적 대응
(2) 향후 시장 전망 및 대응
5. 정책 지원 효과 및 정책 방향
(1) 기존 지원사업의 정책 지원효과
(2)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의 효과
(3) 정책 방향
6. 정책 시사점
(1) 뉴노멀에 따른 수익성 악화의 파급 예상
(2) 신재생에너지 기업의 부실 대응 및 정책 지원 효과 미흡
(3) 수출지향적 산업구조 개선을 통한 뉴노멀에 따른 정책 부담 최소화
(4) 상생협력 활성화를 통한 뉴노멀 리스크 해소
제6장 신재생에너지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1. 기본 방향
2. 세부 정책과제
(1) 수요 확대
(2) 공급 관련 제도 개선
(3) 글로벌 시장 진출 관련 지원 개선
(4) 경제권역 차원 지역 신재생에너지산업육성 정책으로의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