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STEPI 정책연구 2015-19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STI) International Cooperation Strategy in Eurasia Region
유라시아 지역 STI 국제협력 전략
- 단체저자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발행사항
-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 형태사항
- 106 p. 삽화 도표 24cm
- 총서사항
- STEPI 정책연구 2015-19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101-102)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400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400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요 약 ⅰ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4
제2절 주요 연구 내용과 방법 6
1. 주요 연구 내용 6
2. 추진전략 및 방법 8
3. 활용 방안 8
제2장 이론적 근거 : 네트워크 외교전략 10
제1절 네트워크 외교전략 10
1. 배경 : 공공외교의 등장 10
제2절 네트워크 외교 전략과 유라시아 STI 협력 14
1. 이론의 적용 및 전략 14
2. 방법론: 네트워크 외교 16
3. 정책 활용 프레임 21
제3장 유라시아의 공간적 범위와 STI 협력 특성 23
제1절 유라시아 지역의 공간적 범위 23
제2절 유라시아지역의 과학기술협력 특성 25
1. 유라시아 지역 내 사회주의 과학기술협력체 25
2. 주요 문제점과 과학기술체제 전환 31
제3절 러시아의 혁신경제와 중국의 자주혁신 35
1. 러시아의 혁신경제와 대외 과학기술협력 35
2. 중국의 자주적 혁신과 대외 과학기술협력 38
제4장 유라시아 지역의 다자간협력체와 대형 프로젝트 43
제1절 유라시아 지역 내 다자간 협력체 43
1. CIS와 EEU 43
2. 상해협력기구(SCO) 45
3. 비세그라드그룹(V4) 47
제2절 유라시아지역의 대형 협력 프로젝트 49
1. 중국의 일대일로와 동북지역 개발 49
2. 중러 과학기술협력 51
3. 대륙철도 연결과 접경지역 협력 55
4. 북극 항로 개척 59
제3절 한국의 대 유라시아 STI 협력 동향 62
1. 다자간 협력 62
2. 양자 간 협력 64
제5장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위한 STI 협력 추진방안 68
제1절 협력 목표와 방향 68
1. 협력 목표 68
2. 협력 방향 68
제2절 주요 협력 과제 73
1. “유라시아지역 개방형 혁신포럼” 공동 설립 및 활성화 73
2. ICT 협력 74
3. 연구성과 및 민생기술 산업화, 기초과학 연구단지 공동 건설 75
4. 교통 운수분야 연구개발 및 산업화단지 건설 77
5. 신에너지 분야 협력거점 구축 78
6. 해양, 수산, 자원 분야 협력거점 구축 79
7. 우주, 위성 응용, 재난 방지 80
8. 농업, 생명, 제약 80
제3절 네트워크 외교전략과 유라시아 STI 협력 82
제6장 유라시아 STI 협력에 대한 북한 참여 유도방안 85
제1절 북한의 대 유라시아 협력 동향과 시사점 85
1. 북한의 개혁과 개방 85
2. 북한과 중국의 협력 87
3. 북한과 러시아의 접경지역 협력 91
4. 국제기구 가입 91
5. 북한 참여 유도를 위한 시사점 92
제2절 북한 참여 유도방안과 추진 과제 96
1. 핵무기 포기를 전제로 하는 원자력 협력체 가입 96
2. 개방형 혁신포럼 참여 유도와 국제화 지원 97
3. 과학기술협력기금 조성 및 연구기관 간 협력체 설립 97
4. 신에너지와 민생 분야 지원 97
5. 재난 예측과 방지 및 복구 98
6. 산업화 특구 설립 98
7. 지식공유시스템 구축 99
참고문헌 101
Summary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