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IEP 연구보고서 16-16

미국 경제구조 변화에 따른 성장 지속가능성 점검 및 시사점

발행사항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형태사항
178p. 도표 그래프 24cm
총서사항
KIEP 연구보고서 16-16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4270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427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미국 경제성장률의 경기변동 특징 분석 1. 경기변동 분석 방법의 기초 2. 주요국의 경기순환 변동 및 선행연구 가. 주요국의 경기변동 분석 나. 미국의 경기변동 분석의 선행연구 3. 실증 분석 가. 기본 모형 설정 나. 분석 방법 다. 데이터 라. 분석 결과 마. 확장 모형을 이용한 분석 결과 4. 소결 제3장 미국 경제의 중장기 경제성장 1. 서론 2. 분석방법 3. 주요 변수에 대한 전망 가. 노동인구(L) 나. 교육수준(E) 및 인적자본(H) 다. 자본축적(K) 라. 총요소생산성(A) 4. 분석결과 5. 반사실적(counter-factual) 분석 가. 인구구조가 고정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나. 교육수준이 고정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6. 소결 제4장 DSGE를 통한 미국의 경기회복세 분석: 추세성장의 영향을 중심으로 1. 연구의 의의 및 문헌연구 가. 연구의 의의 나. 관련 문헌 2. Background Motivation: 정형화된 사실들(stylized facts) 3. DSGE 모형 가. 가계 부문 나. 생산 부문 다. 정부 부문 라. 집계(aggregation) 및 시장 청산(market clearing) 마. 모수값 지정(calibration) 4. 분석 결과: 유동성 선호 충격(liquidity demand shock) 반응 분석 제5장 오바마 정부의 경제성장 정책 1. 집권 1기의 성장정책 가. 재정확대를 통한 경기부양 나. 자동차산업 구조조정 다. 금융개혁 라. 수출확대 2. 집권 2기의 성장정책 가. 첨단 제조업 혁신 지원정책 나. R&D 정책 다. 인프라 투자 3. 소결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미국 중장기 성장경로에 따른 우리나라의 대응 2. 한국의 성장전략 수립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공급측면을 중심으로 3. 국가 R&D 투자정책 관련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