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3-05Spatial Planning Method and Application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기후변화 적응형 공간계획방법의 개발과 모의적용 연구(Ⅰ)

저자
김동현
발행사항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3
형태사항
266 p. 도표 25 cm
총서사항
KEI 연구보고서 2013-05
서지주기
참고문헌(p.249-261)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280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280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연구의 틀 제2장 연구의 이론적 기반 1. 통합적인 기후변화 적응으로서의 공간계획 2. 공간계획의 이론과 신공간계획 가. 공간계획의 이론 : 공간에 내재된 특성과 계획 나. 신공간계획 흐름 : 전략공간계획과 시나리오 공간계획 3. 공간계획의 이론과 기후변화 적응으로의 확장 가. 공간계획 이론과 기후변화 적응의 통합적 논의 나. 기후변화 적응에서의 전략공간계획과 시나리오 공간계획의 통합적 논의 다. 공간계획을 통한 기후변화 적응에서의 공간범위 4. 기후변화 적응형 공간계획의 정의와 특성 가. 기후변화 적응형 공간계획의 정의 나. 기후변화 적응형 공간계획의 특성 제3장 신공간계획 기법을 활용한 기후변화 적응형 공간계획 사례 1. 캐나다 유콘 화이트호스 기후변화 적응계획 2. 호주 빅토리아의 Irrigation Futures 프로젝트 3. 미국 뉴욕 허드슨 강 하구 유역의 Rising Water 프로젝트 4. 영국의 Thames Estuary 2100 프로젝트 5. 호주 South East Queensland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시나리오 계획 연습 6. 호주 빅토리아 주 기후변화 적응 계획 7. 호주 빅토리아 주의 Broadmeadow 2032 프로젝트 제4장 공간계획 요소의 도출과 기후변화 적응 1. 공간계획의 구조 및 요소의 도출 가. 기존 공간계획의 검토 나. 공간계획 내 요소의 상호관련성 2. 공간계획에서의 기후변화 적응 가. 국외 공간계획에서의 기후변화 적응 논의 나. 국내 공간계획에서의 기후변화 적응 논의 다.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한 공간계획요소 라. 적응 내재화 전략에 따른 공간계획요소의 세분화 마. 기후변화 적응의 공간계획 내재화 전략과 의사결정의 공간범위 제5장 기후변화 적응형 공간계획방법의 개발 1. 기후변화 적응형 공간계획의 프레임워크 2. 기후변화 적응형 공간계획의 세부 모듈 및 단계 가. STEP 1 : 대상지역 선정 및 지역 기초조사 나. STEP 2 : 대상지역 공간 맥락 파악 다. STEP 3 : 대상지역 계획 목표 설정(지역발전 및 기후변화 적응) 라. STEP 4 : 대상지역 시나리오 도출 및 적응전략 내재화 마. STEP 5 : 대상지역 공간계획 도출 바. STEP 6 : 공간계획에 따른 단위사업 및 경로구성 3. 녹색기반시설을 활용한 공간계획도구의 탐색 가. 녹색기반시설의 정의 및 기술요소 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녹색기반시설 다. 녹색기반시설의 공간계획 적용 라. 공간계획도구로서 녹색기반시설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트리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 가. 공간계획관련 제도에 있어서의 도입방안 나. 기후변화 적응형 공간계획의 이행을 위한 방안 다.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에서의 활용방안 2. 연구의 결론 및 한계 3. 2차년도 연구의 주요 내용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