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EIP 연구보고서 13-11Green climate fund: current issues and way forward for the successful operationalization

녹색기후기금(GCF)의 당면과제와 우리의 대응방안

발행사항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형태사항
179 p. 도표 그래프 24 cm
총서사항
KEIP 연구보고서 13-11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302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302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서언 국문요약 약어 표기 제1장 서 론 제2장 GCF 설립 배경과 주요 경과 1. 유엔기후변화협약과 협상 동향 가. 선진국의 재정지원 의무 나. 개도국 지원목표 수립과 GCF 설립 다. 장기재원 작업프로그램 운영 2. GCF와 당사국총회의 관계 가. 재정 메커니즘과 운영주체 나. 당사국총회의 지침 다. 최근 상설위원회 논의사항 3. 소결 제3장 GCF 주요 쟁점(1): 기금의 조성 1. 기후재원의 주요 출처 2. 다자기금에 대한 공여유인 가. 공여 결정요인에 관한 이론적 정리 나. 다자지원의 특징 다. 기후변화 영역에서 다자적 지원 3. 주요 기금과 GCF 비교분석 및 평가 가. 설립 배경 및 목적 나. 거버넌스 다. 재원 조성방식 라. 소결 제4장 GCF 주요 쟁점(2): 기금의 전달 1. 주요 이슈 가. 지원수단의 유형 나. 기금에 대한 접근방식 다. 민간 참여 유도 2. 기존 기금 사례분석 가. 수원국 주인의식 나. 기금에 대한 접근성 다. 성과기반 지원 3.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요건 가. 수원국의 역량강화 나. 민간 참여를 위한 특별한 고려 다. 상호 책임성 추구 제5장 GCF의 당면과제와 우리의 대응방안 1. GCF 발전을 위한 우선과제 가. 공여유인 제고를 위한 기존 기금과의 차별화 나. 기금 사용을 위한 여건 조성 다. 협상의 진전 2.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가. GCF 조기 운영 개시를 위한 아이디어 나. 개도국의 역량강화 지원 다. 관련 산업 활성화 지원 라. GCF 성공을 위한 협상전략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