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39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39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발간사
Ⅰ. 한반도 통일이 미국에 미칠 편익비용 분석(마커스 놀랜드)
1. 통일 시나리오와 미국의 편익
2. 통일에 대한 일반균형모형 시산 결과
3. 중력 모델을 통해 본 미국에 대한 시사점
4. 정책 이슈
Ⅱ. 한반도 통일이 중국에 미칠 편익비용 분석(진징이 외)
1. 도입
2. 중국의 동북아 발전전략에서 한반도의 이상상태
3. 한반도 통일과 중국의 경제이익
4. 한반도 통일과 중국의 안보이익
5. 한반도 통일을 위한 한·중 협력방향
6. 결론
Ⅲ. 한반도 통일이 일본에 미칠 편익비용 분석(후카오 쿄지 외)
1. 도입
2. 통일 이후 경제발전에 대한 시나리오
3. 일본과 여타 주요국의 GDP 및 고용증대
4. 동아시아 노동분업 구조에서 ‘슈퍼코리아’ 출현
5. 북한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재정 지원
6. 사회간접자본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일본 민간기업의 역할
Ⅳ. 한반도 통일이 러시아에 미칠 편익비용 분석(알렉산더 제빈 외)
1. 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 결정요인
2. 현재 논의되는 통일 시나리오의 결점
3. 5개 통일 시나리오별 편익과 비용
4. 한국 통일정책에 대한 제언
Ⅴ. 남북한 경제통합의 효과(성한경)
1. 서론
2. 경제통합에 따른 변화
3. 분석모형과 시나리오의 설정
4. 시나리오별 결과 분석
5. 시나리오 결과 비교분석
6. 시사점
Ⅵ. 점진적 통일과정에서의 동북아 경제협력과 남북한경제통합 방안(강문성 외)
1. 서론
2. 남북한 경제통합 추진의 기본방향
3. 남북한 경제통합이 동북아 분업구조에 미치는 영향
4. 남북한 경제통합과 동북아 경제협력
5. 남북한 점진적 경제통합 추진방안
Ⅶ. 통일의 외교안보편익 분석 및 대주변국 통일외교정책 방향(전재성 외)
1. 서론
2. 최근 동아시아 지역의 국제정세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중․일․러 각 국가의 입장과 기대편익
4. 통일 한반도를 위한 대주변국 통일외교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