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Investment guide of the Russian Far East
러시아 극동지역 투자가이드
- 단체저자
- 주 블라디보스톡 대한민국 총영사관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 연구사업단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주 블라디보스톡 대한민국 총영사관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 연구사업단
- 발행사항
-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573p. 23cm
- 서지주기
- 참고자료(p.557-573)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75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75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러시아 극동지역은 안보적으로 한반도 평화와 안정, 더 나아가 통일 이후 국가발전과 직결되는 곳이다. 경제적으로는 에너지, 자원, 물류를 비롯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고 북극해 개발과 북극 항로에 본격 참여할 수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이 책은 기존의 극동러시아 투자가이드와 몇 가지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첫째, 극동 러시아의 투자정책, 투자환경, 유망투자분야, 성공실패사례, 투자자준수사항을 종합적으로 보여준다. 둘째, 사례를 중심으로 보다 실용적인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어니스트영, EBRD, 로펌, 회계법인, 경제전문 언론인과 같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셋째, 그럼으로써 해야 될 것, 하지 말아야 될 것에 대해 살아 있는 노하우를 전달하고 있다. 넷째, 정치, 경제를 넘어 문화적인 이해와 소양이 투자진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인문학적 가치도 일부 반영하였다.
이 책은 기존의 극동러시아 투자가이드와 몇 가지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첫째, 극동 러시아의 투자정책, 투자환경, 유망투자분야, 성공실패사례, 투자자준수사항을 종합적으로 보여준다. 둘째, 사례를 중심으로 보다 실용적인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어니스트영, EBRD, 로펌, 회계법인, 경제전문 언론인과 같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셋째, 그럼으로써 해야 될 것, 하지 말아야 될 것에 대해 살아 있는 노하우를 전달하고 있다. 넷째, 정치, 경제를 넘어 문화적인 이해와 소양이 투자진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인문학적 가치도 일부 반영하였다.
목차
제1장 러시아 극동지역의 사회경제적 발전: 외국인투자 및 기업유치 기반
1. 러시아 극동지방의 일반적 특징
2. 극동에 대한 연방 및 지역 개발계획
3.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한 연방 및 지역 활동
제2장 러시아 극동지역 사업을 위한 법적 근거
1. 외국인투자에 대한 주요 법적 규제
2. 극동에서의 회사 설립 및 사업 수행
제3장 러시아 극동지역의 사업 및 투자환경
1. 거시경제적 분석
2. 투자 및 투자환경: 최근동향
3. 극동 연방 관구 내 투자 위험성
4. 러시아 극동지역의 상ㅂ 및 투자환경: 기업 관점
5. 투자환경 조성을 위한 사회문화적 특징
제4장 러시아 극동지역의 유망투자 대상
1. 에너지
2. 농업
3. 어업
4. 임업
5. 운송과 물류
6. 인프라 및 건축업
7. 서비스 분야
8. IT 및 통신 부문
9. 중공업 부문
10. 은행 부문
11. 금융 부문
12. 의료 부문
제5장 러시아 극동지역 외국인투자자의 교훈 및 경험
1. 칼루가 주 외국인투자 유치 분야에서의 성공사
2. 성공사례: '하바롭스크공항'사와 '인천국제공항'사의 협력
부록
1. 러시아 극동지역 투자진출을 위한 전문가 조언
2. 러시아 극동지역 정보
3.러시아 극동지역에 대한 투자프로젝트
4. 외국 및 러시아 기업 대상 설문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