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28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28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4. 보고서의 구성
제2장 EU 회원국의 제조업 현황 및 주요 이슈
1. EU 경제와 제조업
가. 제조업에 대한 재조명
나. EU 제조업의 국제적 위상 변화
다. EU 경제와 제조업의 변화
2. 유럽 제조업과 글로벌 가치사슬
가. 글로벌 가치사슬의 재편 배경
나. EU의 역내외 글로벌 가치사슬
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관계
3. 거시지표를 통해 본 국가별 제조업 현황
가. 상품수지의 변화
나. 국가별 비교
4. 제조업의 생산성 및 국제경쟁력 비교
가. 기술분야에 따른 비교
나. 현시비교우위를 통한 비교
다. 생산성의 변화
5. 소결
제3장 EU의 산업경쟁력 제고정책
1. EU의 성장전략과 산업경쟁력
가. 혁신공동체(Innovation Union)
나. 청년이동(Youth on Move)
다. 유럽을 위한 디지털(Digital Agenda for Europe)
라. 자원효율적 유럽(Resource-efficient Europe)
마. 글로벌 시대의 산업정책(Industrial Policy for the Globalisation Era)
바. 새로운 기술과 일자리(Agenda for new skills and jobs)
사. 빈곤 및 사회적 배제 극복(European Platform against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2. EU의 산업정책
가. 2010년 - 세계화 시대 통합산업정책
나. 2011년 - 경쟁력 제고를 위한 산업정책
다. 2012년 - 성장과 경제회복을 위한 더 강한 유럽산업
라. 2014년 - 유럽산업르네상스
3. EU 산업경쟁력 지원정책
가. R&D 정책: Horizon 2020
나. EU 중소기업법
다. 금융지원 정책
4. 소결
제4장 EU 주요국의 산업경쟁력 제고정책
1. 주요국 선정
2. 국가별 사례
가. 독일
나. 스웨덴
다. 이탈리아
라. 폴란드
3. 국가별 정책 평가 및 향후 과제
제5장 주요 산업별 성장전략
1. 자동차 부문
가. 자동차 산업의 현황
나.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제고계획
다. 자동차 산업 경쟁력 제고정책의 특징
2. 정보통신(ICT)
가. EU의 ICT 산업 현황
나. EU의 ICT 산업정책
다. ICT 산업 경쟁력 제고정책의 평가
3. 제약 부문
가. 산업 현황
나. 제약산업 경쟁력 제고정책
다. 제약산업 경쟁력 제고정책의 평가
4. 에너지
가. 시장 동향
나. 에너지 정책
다. 에너지 정책의 평가
제6장 평가 및 시사점
1. EU 산업경쟁력 제고정책에 대한 평가
가. Europe 2020 전략의 추진력
나. Europe 2020 전략의 달성 현황
다. 향후 Europe 2020 전략 추진과정에서의 위험요인
2. 유럽의 사례를 통한 정책적 시사점
가. 과학과 산업 간의 연계성 강화: 민간 참여 확대를 중심으로
나. 제조업-서비스 산업의 연계성 강화
다.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라. 글로벌 가치사슬 측면에서의 과제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