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3-02Future oriented water environment target and management

미래지향적 물환경 목표와 관리체계

저자
이병국
발행사항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3
형태사항
196 p. 도표 그래프 25 cm
총서사항
KEI 연구보고서 2013-02
서지주기
참고문헌(p.169-172)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289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289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가. 연구 배경 나.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가. 연구 범위 나. 연구 방법 3. 보고서의 구성 제2장 물환경 목표의 설정과 변화 1. 물환경 목표의 설정 원칙 가. 외국의 사례 나. 국제기구의 사례 2. 우리나라 수질환경기준의 변화 가. 수질환경기준의 설정 근거와 체계 나. 수질환경기준과 수역별 환경기준 적용등급 및 달성기간 다. 수질 및 수생태계 기준과 중권역별 목표기준과 달성기간 라. 지역환경기준과 총량관리목표수질 제3장 물환경과 관리체계의 변화 1. 물환경에 대한 관심의 변화 가. 언론에 나타난 물환경에 대한 관심의 변화 나. 물환경 인식의 변화 2. 오염원과 수질의 변화 가. 오염원의 변화 나. 수질의 변화 다. 수질개선 상태 3. 수생태계의 변화 가. 수생태계의 변화 나. 하천시설물의 수생태계 영향 다. 수생태계 건강성 4. 물환경 관리체계의 변화 가. 오염원별 수질관리 나. 오염우심하천 정비와 생태하천 정비 다. 수질오염총량관리 5. 물환경 관리의 효과 가. 물환경 개선의 가치 나. 하수처리장과 수인성 전염병의 관계 제4장 미래지향적 물환경 목표 설정 1. 물환경 목표 설정 방향 가. 지속가능성과 생태계를 배려하는 건강한 물환경 나. 중앙정부의 최소 물환경 목표 다. 지역 여건과 수요를 반영한 지역 물환경 목표 설정 2. 미래지향적 물환경 목표 타당성 검토 가. 중앙정부의 최소 목표 검토 나. 지역적 물환경 목표 검토 제5장 미래지향적 물환경 목표와 관리체계 제언 1. 미래지향적 물환경 목표 제언 가. 생태적 건강성을 높이는 물환경 목표 나. 언제 어디서나 멱 감을 수 있는 물환경 목표 다. 지역 물환경 목표의 설정 및 관리체계 도입 2. 미래지향적 물환경 목표를 위한 관리체계 제언 가. 포괄적 물환경 목표를 위한 관리체계 설정 나. 기준설정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 확보 다. 물환경 목표와 관리목표 정비와 이행 라. 유연한 오염원 관리체계와 최선기술 반영 마. 물환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통합환경관리체계 마련 3.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수질 및 수생태계 목표기준 변화 <부록 2> 신문에 나타난 물환경 관련 단어 빈도 조사 <부록 3> 수생태계 변화에 민감한 한국의 적색 목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