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4-738Analysis on the Markets of North Korea
북한 시장실태 분석
- 발행사항
- 세종 산업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315 p. 도표 그래프 24 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4-738
- 서지주기
- 참고문헌(p.311-313) 수록
- 키워드
- 북한, 남북경협, 남북경제통합, 체제전환국, North Korea, Transitional Economies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55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55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구성과 방법
제2장 시장의 개념과 분석 대상 및 방법
1. 시장의 개념
2. 부문별 시장의 설정
(1) 부문별 시장의 존재 여부
(2) 분석 대상 부문별 시장의 개요
제3장 부문별 시장 실태
1. 소비재
(1) 소비재 시장의 개관 및 발달과정
(2) 소비자
(3) 소비재시장의 실태
(4) 상품공급의 주체와 유통구조 : 1980~1990년대
(5) 새로운 상품 공급자의 등장과 전국 도매시장 : 2000년 이후
(6) 소비재 시장 발달의 파급효과와 정부의 대응
2. 서비스
(1) 개관 : 서비스 시장의 발생 배경과 과정
(2) 운수
(3) 상업 및 유통 서비스, 식당
(4) 개인 서비스
(5) 무선통신
(6) 소결 : 서비스 시장 발달 배경, 영향 및 정부 대응
3. 부동산
(1) 주택시장의 개관 및 발달 과정
(2) 북한의 주택배정시스템
(3) 주택 거래 방식
(4) 신규 주택의 건설
(5) 주택시장형성의 파급효과
4. 금융·외환
(1) 머리말
(2) 북한 비공식적 금융·외환 시장 개관
(3) 북한 비공식적 금융·외환 시장의 제 유형
(4) 북한 비공식적 금융·외환 시장의 작동 구조
(5) 비공식적 금융·외환 시장 발달의 파급효과
(6) 소결 : 북한 비공식적 금융·외환 시장의 추세 및 특징
5. 노동시장
(1) 노동시장의 형성과 발달
(2) 노동시장 실태
(3) 경제적 영향과 정부의 정책
(4) 소결
제4장 결론
1. 부문별 시장 발달 실태, 원인 및 한계
(1) 부문별 시장 발달 실태
(2) 시장의 형성 배경 및 발달 촉진 요인
(3) 북한 시장화의 한계
2. 시장의 발달이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1) 시장과 2000년대 북한경제
(2) 대외무역과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