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4-718Industrial Restructuring after Reunification and Roles of Industrial Policy in East Germany
통일 후 동독 산업구조조정과 산업정책의 역할
- 저자
- 김계환 | 이석기 | 이승엽 | 이명헌 | A. Eickelpasch
- 발행사항
- 세종 산업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188 p. 도표 그래프 24 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4-718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77-180) 수록
- 키워드
- 북한, 남북경협, 통일, 남북경제통합, 독일통일, 체제전환 경제, North Korea, Korean Unification, Germany, Transitional Economies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55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55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동독 산업재편 과정의 특수성
1. 체제전환과 산업재편
(1) 체제전환과 구조변화
(2) 산업재편 경로
2. 동독 산업구조의 단계별 변화
제3장 동독지역 기업의 구조조정과 그 효과
1. 분석의 목표와 데이터
2. 이행기 동안 기업 분포의 변화
(1) 소유권의 변경
(2) 서독기업과 외국기업의 투자
3. 기업구조조정의 주요 측면
(1) 전반적인 성과, 장애물 및 조치
(2) 시장 접근
(3) 투자 전략 및 고정 자산
(4) 수익성
4. 구조조정이 동독 제조업 업종별 구조에 미친 효과
5. 산업구조조정이 지역경제 미친 효과
6. 산업구조조정 효과에 대한 평가
제4장 구동독지역 산업재건을 위한 정책 사례연구
1. 서론
2. 지역경제구조개선 정책
(1) 역사와 법적기초
(2) 통일 후 투입 재정 규모
(3) 시행방식
(4) 정책의 시행
(5) 성과 및 평가
3. 혁신 네트워크 구축지원 사업 - InnoRegio 사업
(1) 개요
(2) 배경
(3) 정책의 실행
(4) 사례
제5장 남북한 산업협력에 대한 시사점
1. 통일 후 동독 산업구조조정의 성과
2. 남북한 산업협력에 대한 시사점
(1) 북한 산업재건을 위한 초기조건
(2) 북한 산업재편 전략의 단계별 변화와 외국인투자의 중요성
(3) 남북한 미래 산업구조를 지향하는 협력
(4) 산업구조조정의 유형에 상응하는 산업협력 정책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