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447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447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국문 요약
제1장 서론: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제3절 기대효과
제2장 중국의 주요에너지 수급현황과 관련 정책 목표 및 전략
제1절 중국의 1차에너지 수급현황
1. 부문별 에너지소비 현황
2. 원별 에너지소비 현황 및 전망
제2절 제12차 및 제13차 5개년 계획 하에서 에너지부문 주요 목표 및 성과
1. 제12차 5개년 계획 에너지 부문 주요목표 및 성과
2. 제13차 5개년 계획 내 에너지부문 주요 목표
제3절 중국의 기후변화 대응전략 변화
1. 중국의 기후변화 대응전략 변화 추이
2. 기후변화 대응전략 변화 요인 분석
제3장 에너지효율 관련 중국의 법률제도 및 추진체계
제1절 에너지효율 관련 주요 기본법
1. 에너지절약법
2. 기타 에너지효율 관련 주요법
제2절 에너지효율 관련 하위 법규 분석
1. 부문별 법규들
2. 관리·감독 및 공공기관 관련 법규들
3. 금융지원 관련 법규들
4. 기술·표준 및 기타 법규들
제3절 중국의 에너지효율 정책 추진기관
제4절 소결론 및 시사점
제4장 부문별 에너지소비현황 및 효율화정책 분석
제1절 산업부문
1. 산업부문 에너지효율 현황
2. 주요 정책 성과 및 방향 분석
제2절 수송부문
1. 수송부문 에너지소비 현황
2. 주요 정책 추진현황 및 성과
제3절 건물부문
1. 건물에너지효율 현황
2. 건물에너지 효율 개선 주요 정책
제4절 에너지효율 표준
1. 중국 표준제도 운영체계
2. 중국 전기·전자제품 에너지효율 표준제도
3. 중국 표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제5절 소결론 및 시사점
제5장 장기 에너지 수요 전망 및 에너지 절약잠재량 분석
제1절 수요 전망 모델
1. GCAM 모형의 개요
2. GCAM-China 모형
3. 모형의 주요 전망 전제
4.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제2절 총에너지 및 최종에너지 수요 전망
1. 총에너지 수요 전망
2. 최종에너지 수요 전망
제3절 중국의 에너지절약 잠재량 분석
1. GCAM-China 모형의 에너지절약 잠재량 분석 결과
2. 부문별 에너지 절약잠재량
제6장 중국의 에너지효율시장 진출 여건 및 협력 방안
제1절 중국 에너지효율시장 진출 여건
1. 중앙 정부의 강력한 환경 정책으로 인한 시장 확대
2. 지방정부의 에너지효율정책 추진 현황
3. 외국기업의 중국 에너지효율시장 진출현황 및 여건분석
4. 중국의 ESCO 산업의 산업화 현황
제2절 한 · 중 에너지 효율 부문 부문별 협력 현황 및 향후 추진 방향
1. 정책부문 협력 방안
2. 기술부문 협력 방안
제7장 결론
제1절 요약
제2절 정책적 제언
1. 진출 유망분야의 진출전략 및 정부지원 강화
2. 대중국 진출 실무지원 및 사업정보 시스템 구축
3. 국내외 재원활용을 위한 지원과 국내 협업체계의 강화
4. 한 · 중 정부 간 정책 협력 강화
참고문헌(국내, 국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