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IEP 연구보고서 20-05The Vision of Future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Mongolia in the New Northern Era: Cooperation Tasks and Practical Methods by Sector

신북방시대 한국·몽골 미래 협력의 비전: 분야별 협력과제와 실현방안

발행사항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형태사항
263p 도표 24cm
총서사항
KIEP 연구보고서 20-05
서지주기
참고문헌(p.235-255)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616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616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과 연구 내용 구성 제2장 몽골 경제의 특성과 한ㆍ몽 경제협력 과제 1. 한ㆍ몽 경제협력을 위한 환경 분석 가. 몽골 자원기반경제의 특성 나. 몽골 자원개발의 정책 방향 다. 몽골 경제의 최근 변화와 향후 전망 2. 한ㆍ몽 경제협력의 성과와 한계 가. 한ㆍ몽 무역관계의 성과와 한계 나. 몽ㆍ일 EPA와 몽ㆍ중 FTA 추진의 시사점 다. 한ㆍ몽 투자협력의 성과와 한계 3. 한ㆍ몽 경제협력의 비전과 협력과제 가. 양국 경제협력의 비전과 전략 나. 경제협력 활성화와 EPA 추진 다. 투자협력 증진과 적정기술이전센터 설립 제3장 몽골의 산업정책과 한ㆍ몽 산업협력 과제 1. 몽골의 산업구조와 산업정책: 협력환경 분석 가. 몽골의 주요 산업 나. 몽골의 산업정책 다. 지역별 산업 현황과 산업정책 2. 한ㆍ몽 산업협력의 성과와 한계 가. 대몽골 산업별 직접투자 나. 공적개발원조와 발전경험 공유 다. 지역산업 협력사례 라. 성과와 한계 3. 한ㆍ몽 산업협력의 과제 가. 산업 분야별 협력과제 나. 4차 산업혁명 기술 분야 협력과제 다. 지역산업 협력환경과 과제 라. 산업협력 활성화 방안 제4장 몽골의 정치외교와 한ㆍ몽 협력과제 1. 양국 정치외교 협력환경 분석 가. 한국의 북방정책과 몽골 나. 몽골 정치의 특징 다. 몽골 외교의 특징 2. 양국 정치외교 분야 협력의 성과와 한계 가. 한ㆍ몽 정부간 교류협력의 현황 및 성과 나. 정부간 교류협력의 한계 3. 한ㆍ몽 정치외교 협력의 과제 가. 중ㆍ몽ㆍ러 연계 프로젝트 참여 나. 고비텍 아시아 슈퍼그리드(Gobitec and Asia Super Grid) 사업 참여 다. 남ㆍ북ㆍ몽 연계 협력 라. 한ㆍ몽 정부간 교류 활성화 제5장 한ㆍ몽 인적교류와 협력과제 1. 한ㆍ몽 인적교류 협력환경 분석 가. 양국의 인적교류 현황 나. 인적교류 확대의 원인 다. 인적교류 확대의 필요성 2. 한ㆍ몽 인적교류의 성과와 한계 가. 인적교류의 확대와 다양화 나. 인적교류의 장애물 다. 한국의 연수사업과 몽ㆍ일 교류의 시사점 3. 한ㆍ몽 인적교류 활성화 방안 가. 인적교류 장애물에 대한 대응 방안 나. 인적 네트워크(Human Network) 구축과 활용 다. 몽골 한국센터 설립 제6장 한ㆍ몽 언어ㆍ문화 분야 협력과제 1. 몽골어와 몽골 문화에 대한 이해 가. 몽골어, 몽골어족, ‘알타이 언어들’ 나. 한국어와 몽골어 다. 몽골어와 전통문화 라. 차용어와 외래 문물의 수용 마. 몽골어 속의 한국어 2. 한ㆍ몽 언어ㆍ문화 분야 협력의 성과와 한계 가. 수교 이전의 몽골학과 한국학 교육 나. 수교 이후 한국에서의 몽골학 교육: 1990~2020년 다. 수교 이후 몽골에서의 한국학 교육: 1990~2020년 라. 성과와 한계 3. 언어ㆍ문화 분야 교류 활성화 방안 가. 종합적인 한국문화 플랫폼 설립 나. 우수한 교원 파견제도 강화 다. 몽골 문화 연구지원제도 확충 제7장 결론과 제언 1. 한ㆍ몽 미래협력 비전 설정 2. 주요 협력과제와 실현 방안 가. 경제협력 활성화 과제와 실현 방안 나. 산업협력 활성화 과제와 실현 방안 다. 정치외교 협력과제와 실현 방안 라. 인적교류 활성화 과제와 실현 방안 마. 문화교류 활성화 과제와 실현 방안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