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P 연구자료 17-09Korea's Economic Cooperation Tasks and Strategy for Northeast China in the 13th Five-Year Plan Period
13·5 규획 시기 한국의 중국 동북지역 경제협력 과제와 전략
- 발행사항
-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
- 형태사항
- 161 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P 연구자료 17-09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42-146)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468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468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동북지역의 경제발전 및 정책 동향
1. 동북지역의 경제발전 현황
가. 경제 성장
나. 대외 개방 및 협력
다. 국유기업의 비효율성
2. 동북지역의 산업 구조
가. 산업별ㆍ업종별 구조
나. 지역별 비교우위산업
3. 최근의 정책 동향
가. 동북진흥 13·5 규획
나. 지역별 13·5 규획
다. 주요 개방정책
라. 평가: 구동북진흥정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제3장 한국과 동북 3성의 경제협력 현황
1. 무역ㆍ투자 현황
가. 무역
나. 투자
2. 기업 진출 현황 및 발전 장애 요인
가. 진출 기업의 경영 현황
나. 발전 장애 요인
다. 진출 지역 상황
3. 은행 진출 현황 및 발전 장애 요인
가. 중국 진출 경영 현황
나. 동북 3성 진출 현황
다. 발전 장애 요인
4. 동북지역의 국제 경제협력: 일본과 러시아의 사례
가. 일본
나. 러시아
다. 소결
제4장 한국의 경제협력 전략
1. 대(對)중국, 동북 3성 경제협력 방향
가. 한국의 대(對)중국 협력 접근법 혁신
나. 정치외교 리스크 상시 대비
다. 한국 비즈니스 프렌들리 문화 퇴색
라. 중국 전체-지역별 맞춤형 투 트랙 대응
2. 대동북 경제협력 전략
가. 단기ㆍ중기 정책
나. 장기 정책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보론 동북 3성 민관협력(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사업 분석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