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DI 연구보고서 2014-05A Study on Science of Delivery for Policy Effectiveness Improvement
정책효과성 증대를 위한 집행과학에 관한 연구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62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62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발간사
요 약
제1장 서 론 (김재훈)
제2장 집행과학의 개념과 필요성 (금현섭)
제1절 서 론
제2절 정책집행의 의의
제3절 집행과학의 의의
제4절 집행과학과 성과관리
제3장 정부 효율성/효과성 국제비교 (김재훈)
제1절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제2절 세계경쟁력연감(2013)
제3절 소 결
제4장 정책집행 효과성 제고를 위한 과제 (김현준)
제1절 서 론
제2절 정책집행 총괄기능의 취약성 극복
제3절 국민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집행 운용기반의 확보
제4절 정보⋅자원의 공유를 위한 의사소통체계 확보
제5장 조정과 협력을 위한 의사소통을 위한 유인체계 (김재훈)
제1절 서 론
제2절 모형과 분석 결과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제6장 집행관리의 운영 실제: 영국의 PMDU 사례 (금현섭)
제1절 서 론
제2절 영국에서의 집행과학
제3절 집행관리과제(PSA)와 집행관리조직(PMDU)
제4절 집행관리와 집행관리조직의 특성
제5절 시사점 및 소결
제7장 호주의 공공서비스 전달체계 혁신: Centrelink (김현준)
제1절 Centrelink 연구의 의의
제2절 Centrelink의 조직설계와 운영
제3절 Centrelink의 거버넌스
제4절 Centrelink의 서비스 전달체계
제5절 소 결
제8장 결론 및 시사점 (김재훈)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