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71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71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지역산업역량의 이론적 검토와 연구 분석틀
1. 산업역량과 혁신시스템
(1) 혁신시스템 구성요소
(2) 기존 혁신시스템 이론 검토
2. 지역혁신시스템(RIS)
(1) 지역확산(RS) 요소
(2) 지역혁신시스템(RIS) 개념 모형
(3) 지역혁신시스템(RIS)과 국가혁신시스템(NIS)의 비교
3. 연구 분석틀
(1) 저개발 지역의 RIS 실증분석 : 미국사례
(2) 지역 산업역량 연구 분석틀
제3장 북한 지역산업역량을 위한 해외사례 분석과 공간전략
1. 중국의 지역 산업역량구축 사례연구
(1) 산업역량 주체 부문
(2) 지식확산 부문
(3) 지역확산 부문
(4) 주요 시사점
2. 동독지역 산업역량구축 사례연구
(1) 산업역량 주체 부문
(2) 지식확산 부문
(3) 지역확산 부문
(4) 주요 시사점
3. 북한의 지역 산업역량 구축을 위한 공간정책 전략
(1) 사례연구를 통한 북한의 공간정책 전략
(2) 산업역량 주체부문 공간전략
(3) 지식확산부문 공간전략
(4) 지역확산부문 공간전략
(5) 북한의 지역 산업역량 구축을 위한 최종 대상지
제4장 북한의 지역 산업역량 구축을 위한 전략
1. 북한의 지역 산업역량 분석
(1) 산업역량 주체 부문
(2) 지식확산 부문
(3) 지역확산 부문
(4) 북한의 지역 산업역량 분석결과
2. 북한 접경 국가들의 지역 산업역량 비교 분석
(1) 산업역량 주체 부문
(2) 지식확산 부문
(3) 지역확산 부문과 산업역량 공유
3. 북한의 지역 산업역량 구축 방안
(1) 압록강경제권 : 신의주(의주) 지역
(2) 두만강경제권 : ‘라선+청진’ 지역
(3) 환황해경제권 : ‘해주+개성’ 지역
(4) 환동해경제권 : ‘원산(금강산)+문천’ 지역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결론 및 요약
2.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