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4-727Ideas for Generating High Value Added in the Engineering Industry
엔지니어링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방안 연구
- 발행사항
- 서울 산업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205 p. 도표 그래프 24 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4-727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92-194)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50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50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3. 연구의 구성
제2장 엔지니어링산업의 재정의와 현황
1. 엔지니어링산업 정의
(1) 엔지니어링산업의 이론 및 법령상 정의
(2) 건설·플랜트 엔지니어링산업의 재정의
(3) 제조엔지니어링의 정의 정립
2. 엔지니어링산업의 현황
(1) 건설·플랜트 부문 엔지니어링 현황
(2) 제조엔지니어링 현황
(3) 소결론
제3장 건설·플랜트 엔지니어링산업의 실태 분석
1. 실태 분석의 필요성 및 목적
2. 실태 분석의 대상 및 주요 내용
(1) 실태 분석의 대상
(2) 실태 분석의 주요 내용
3. 건설·플랜트 엔지니어링산업의 실태 분석
(1) 일반현황
(2) 업무영역 및 기술력 평가
(3) 발주처 현황 및 사업 확장 계획
(4) 지원정책 평가
4. 소결
제4장 제조엔지니어링의 투입현황 및 사례분석
1. WIOD를 활용한 산업연관분석
(1) WIOD 활용의 배경
(2) 세계산업연관표(WIOT)의 구조
(3) WIOT의 자료 및 산업분류
2. 제조엔지니어링 투입구조 분석
(1) 서비스 중간재 투입구조 분석
(2) 제조엔지니어링 중간재 투입 구조
3. 제조엔지니어링 경쟁력 저해 요인 분석
(1) 제조엔지니어링 아웃소싱 문화의 부재
(2) 높은 엔지니어링 인프라 구축 및 유지 비용에 대한 부담
(3) 제품 중심의 연구개발에 따른 파급효과 단절
(4) 제조엔지니어링 활성화 및 육성을 위한 지원책의 미흡
4. 소결
제5장 정책 방안
1. 새로운 분류체계 확립
(1) 현행 분류체계의 문제점
(2) 분류체계 정립을 위한 정책방향
2. 기술경쟁력 강화 방안
(1) 건설·플랜트 엔지니어링
(2) 제조엔지니어링 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