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P 연구보고서 17-07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Major Countries and Growth Strategy of Korea: U.S. Germany and Japan Cases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성장전략: 미국 독일 일본을 중심으로
- 발행사항
-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
- 형태사항
- 214 p. 도표 그래프 24cm
- 총서사항
- KIEP 연구보고서 17-07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470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470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 및 구성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특징
제2장 디지털 경제와 4차 산업혁명 : 개념
1. 4차 산업혁명의 배경
2. 디지털 경제
가. 플랫폼 혁명: 네트워크 효과
나. IoT
3. 4차 산업혁명
가.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제개념
나. 플랫폼: 산관학 협력기구, 기업컨소시엄
다. 국제표준화
제3장 미국의 4차 산업혁명
1. 첨단 제조업(Advance Manufacturing) 혁신정책
2. 혁신기술 개발을 위한 생태계 현황
가. 벤처캐피털 현황 및 역할
나. 액셀러레이터의 현황 및 역할
3. 주요 분야별 4차 산업혁명 현황
가. 스마트 모빌리티
나. 빅데이터(Big Data)
다. 인공지능(AI)
4. 트럼프 행정부의 ICT 정책 동향
제4장 독일의 4차 산업혁명
1. 인더스트리 4.0 정책의 배경: High-Tech Strategy
2. 독일의 산·관·학 협력체제: Plattform Industrie 4.0
가. 개요
나. 플랫폼의 워킹그룹 현황
3. 인더스트리 4.0의 주요 분야별 추진 현황과 과제
가. 표준화를 위한 체계
나. 국제협력
다. 중소기업 정책: Mittelstand 4.0
제5장 일본의 4차 산업혁명
1. 일본의 4차 산업혁명 추진전략
가. 성장전략과 4차 산업혁명
나. 2017년판 성장전략: Society 5.0, 4차 산업혁명, Connected Industries
2. 주요 분야별 4차 산업혁명 추진 현황과 로드맵
가. 스마트 모빌리티(Smart Mobility)
나. 스마트 공급망(Smart Supply-Chain)
3. 일본의 4차 산업혁명 실행체계: 관민, 산관학 협력기구를 중심으로
가. 실행체계
나. 주요 분야별 추진 현황
제6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
1.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요약
가. 미국
나. 독일
다. 일본
2. 한국의 4차 산업혁명 대응
가. 정부의 대응
나. 산업·기업의 대응
3. 정책적 시사점
가. 민관·산관학 협력기구 설치
나. 규제개혁 및 제도정비
다. 중소기업 지원
라. 국제협력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