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47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47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세계경제 속의 유라시아 경제연합
1. 연구의 배경
2. 지역구도화의 국제정치경제학
3. 연구의 목적 및 선행 연구
제2장 세계경제의 지역적 구도 변화의 배경과 현황
1. 세계경제 지역적 구도 변화의 이론적 배경
가. 세계화 트릴레마(Globalization Trilemma)
나. 지역경제통합과 New Economic Geography
다. 국제적 생산분업: 주요 국가간 비교
2. 지역적 경제구도 변화의 양상
가. 주요 지역별 경제력 비중의 변화
나. 세계 지역별 무역 비중의 변화
다. 외국인직접투자
3. 러시아 경제구조와 EEU 확장 정책의 구심력
제3장 러시아 세계전략과 EEU 확장정책의 평가
1. 푸틴의 국가발전전략과 EEU
가. 소련 해체와 신(新)국제질서의 출현
나. 푸틴의 등장과 러시아의 국가전략 방향
다. 푸틴의 ‘EEU 프로젝트’
2. 구소련 공간 재편전략으로서의 EEU
가. 소련 해체와 포스트 소비에트 공간 내 지역 통합운동
나. 1990년대 CIS 지역 통합운동
다. 2000년대 CIS 지역 통합운동
라. 푸틴 집권 3기 CIS 지역 통합 작업
제4장 EU, 중국, 미국의 대EEU 전략
1. EU의 대EEU 전략
가. 소련 해체 이후 EU·러시아 관계의 변화
나. EU의 대중앙아시아 정책과 지역전략
다. EEU에 대한 EU의 입장
2. 중국의 대EEU 전략
가. 소련 해체 이후 중국·러시아 관계
나. 중국의 대중앙아시아 지역전략
다. EEU에 대한 중국의 입장
3. 미국의 대EEU 전략
가. 미국에게 EEU의 의미
나. 미국과 중앙아시아의 관계
다. EEU에 대한 미국의 입장
제5장 구소련 지역경제권의 대EEU 전략
1. 관세동맹 회원국(카자흐스탄, 벨라루스)의 입장
2. 잠재적 후보국(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조지아)의 입장
가. 우크라이나
나. 우즈베키스탄
다. 아르메니아와 키르기스스탄
라. 조지아
제6장 EEU 출범 이후 유라시아 국제관계 변화: 전망과 정책 시사점
1. 유라시아 국제관계 변화
가. 유라시아 지역통합의 내부 동학과 향후 전망
나. 탈소비에트 공간의 국제관계 변화
다. EEU 출범에 따른 에너지 관계 변화 전망
2. 정책 시사점
가. 한국의 대EEU 중장기 전략 구축
나. EEU 개별 회원국과의 전략적 제휴를 위한 투자협정
다. EEU 회원국별 자유무역협정의 체결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