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P 연구보고서 17-26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trategy and Cooperation in Asian Major Countries China India and Singapore
아시아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추진전략과 협력방안: 중국 인도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 발행사항
-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
- 형태사항
- 282 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P 연구보고서 17-26
- 서지주기
- 참고문헌(p.252-269) 수록
- 키워드
- The 4th Industrial, ICT 경제, 경제협력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479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479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구성, 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및 한계
제2장 4차 산업혁명 추진역량 비교
1. 디지털(digital) 역량
가. ICT 인프라
나. ICT 특허 및 R&D
다. ICT 시장규모 및 경쟁력
라. ICT 활용 및 법·제도, 보안
2. 유연 및 혁신 역량
가. 유연성(flexibility)
나. 혁신성(innovation)
3. 연구개발 및 혁신 클러스터 역량
가. 연구개발(R&D)
나. 혁신 클러스터
4. 혁신창업 역량
가. 창업 활동 및 생태계
나. 모험자본 및 유니콘 기업
다. 유니콘 및 유망 기업 역량
5. 부문별 역량
6. 요약 및 시사점
제3장 국가별 4차 산업혁명 전략 및 정책
1. 중국
가. 중국 4차 산업혁명의 특징: 디지털 경제
나. 주요 전략 및 정책
다. 혁신 생태계
2. 인도
가. 4차 산업혁명 전략 프레임워크
나. 기본전략: ‘디지털인디아(Digital India)’
다. 핵심전략: ‘사물인터넷 정책 2015’
라. 주요 프로젝트 현황
마. 인도 4차 산업혁명 전략의 특징
3. 싱가포르
가. 기본전략: Smart Nation Initiative
나. 추진체계
다. 핵심 분야(domains) 및 관련 주요 프로그램
라. 주요 지원정책(계획)과 창업생태계
마. 싱가포르 4차 산업혁명 전략의 특징
제4장 4차 산업혁명의 국가별 국제협력 사례
1. 중국
가. 스마트제조 분야 협력
나. 자본투자 중심의 전방위 협력
2. 인도
가.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시티 및 혁신허브 개발
나. 창업생태계 국제협력 채널 구축
다. 스타트업 육성 및 투자 확대
3. 싱가포르
가. 글로벌 R&D Hub 구축: 다국적기업 유치
나. Virtual Singapore: Dassault Systems과 공동 개발
다. FinTech: 영국과의 협력 및 Singapore FinTech Festival 개최
라. 해외인재 유치 및 인재양성 협력 프로그램
제5장 시사점 및 정책과제
1. 한국 4차 산업혁명 전략과 시사점
가. 한국 4차 산업혁명 전략 및 방향, 정책
나. 정책 시사점
2. 국가별 협력 방향 및 정책 과제
가. 중국: 경쟁 및 대응, 활용 등 선택적·전략적 협력 강화
나. 인도: SW, BD, 스마트 시티·공장 분야 등 융합·상생 협력 강화
다. 싱가포르: 정책·제도, 교육·R&D, 창업생태계 등 혁신협력 강화
3.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