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기후환경정책연구 2014-08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stainable water use indicators
지속가능한 물이용을 위한 지표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I):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가 환경안보 체제 구축
- 저자
- 김연주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발행사항
- 세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345 p. 도표 그래프 26 cm
- 총서사항
- KEI 기후환경정책연구 2014-08
- 서지주기
- 참고문헌(p.245-253)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44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44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제2장 지속가능한 물이용과 지표의 개념
1. 지속가능한 물이용
가. 지속가능성
나. 지속가능한 물이용
2. 지속가능한 물이용 지표
가. 지표연구의 정의 및 구성
나. 지표 국외 연구 사례
다. 지표 국내 연구 사례
제3장 지속가능한 물이용을 위한 지표 개발 및 적용 방안
1. 지표 구성
2. 압력 지표
가. 인간 물 요구량
나. 수생태계 건강성
다. 수질 요구량
라. 수자원 재생능력
마. 물관리 형평성
3. 반응 지표
가. 인간 물 요구량
나. 수생태계 건강성
다. 수질 요구량
라. 수자원 재생능력
마. 물관리 형평성
4. 통합 지수 산정
가. 지표 표준화
나. 가중치 산정
다. 지표 통합
제4장 지속가능한 물이용을 위한 지표 자료 구축
1. 지속가능한 물이용의 압력 지표
가. 인간 물 요구량
나. 수생태계 건강성
다. 수질 요구량
라. 수자원 재생능력
마. 물관리 형평성
2. 지속가능한 물이용의 반응 지표
가. 인간 물 요구량
나. 수생태계 건강성
다. 수질 요구량
라. 수자원 재생능력
마. 물관리 형평성
제5장 지속가능한 물이용의 평가 및 시험검증
1. 가중치 산정
가. 압력 지표 가중치
나. 반응 지표 가중치
2. 물이용의 지속가능성 지수 평가
가. 중권역별 압력지수
나. 중권역별 반응지수
다. 중권역별 지속가능한 물이용 지수
라. 대권역별 지속가능한 물이용 지수
3. 결과의 시험 검증
가. 지표 자료의 질 검토
나. 가중치 적용에 따른 민감도 분석
다. 지표의 통계적 일관성 분석
라. 기존 지수와의 비교 방안
4. 소결
가. 지표 결과 해석의 한계점
나. 향후 검증 및 보완 방향
제6장 전 지구 물 지표의 우리나라 대상 평가 및 검증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가. 자료 검토
나. 평가방법
다. 민감도 분석
3. 평가 결과
가. 지표별 비교
나. 지수별 비교
4. 소결
제7장 결론 및 향후 과제
1. 결론
2.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록
부록1. 가중치 설정을 위한 설문조사 양식 및 결과
부록2. Vorosmarty et al.(2010)의 구조 및 지표구성
부록3. 유역별 오염원과 오염부하량 산정
부록4. 영산·섬진강 권역의 유출량 및 오염부하량 시험검증
부록5. KEI/NRCS-World Bank 국제공동워크숍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