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IEP 전략지역심층연구 14-10

한국의 유라시아 협력 전략 연구

중견국 전략의 사례롸 EEU가 한국에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발행사항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형태사항
234p. 도표 24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347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347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다자주의 협력하에서의 중견국가 이니셔티브에 관한 고찰 1. 서론 2. 중견국가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다자주의와 중견국가의 이니셔티브: 현실주의적 외교와 이상주의적 외교 사이에서 4. 중견국가의 유형분석 가. 전통적 중견국가 나. 새롭게 부상한 중견국가 5. 소결: 한국에 주는 함의 제3장 탈냉전기 터키의 중견국 외교정책 1. 터키의 대외정책 변화과정과 중견국가 조건 가. 대외정책의 변화과정과 중견국가 의지 나. 중견국가의 물리적 조건 2. 중견국 전략과 다자주의 가. ‘갈등제로’ 정책(Zero-problem Policy) 나. 다자주의 확장 3. 소프트파워 정책과 양자관계 4. 소결 제4장 역내 중견국으로 부상한 카자흐스탄의 외교정책 1. 카자흐스탄의 대외정책 변화과정과 중견국가 조건 가. 중견국가 의지와 전방위외교 나. 중견국가의 물리적 조건 2. 중견국 전략과 다자주의 가. 상하이협력기구(SCO: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나. 아시아 교류 및 신뢰구축 회의 (CICA: Conference on Interaction and Confidence-Building Measures in Asia) 다. 집단안보조약기구(CSTO: Collective Security Treaty Organization) 라.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마. 유라시아경제공동체(EurAsEC: Eurasian Economic Community) 바. 유라시아관세동맹(ECU: Eurasian Customs Union), 유라시아경제연합(EEI: Eurasian Economic Union) 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아. 튀르크 위원회(Turkic Council and TURKSOY) 자. 이슬람협력기구(OIC: The 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 차. 국제연합(UN: United Nation) 3. 강대국 외교와 양자관계 가. 강대국 외교정책 나. 중앙아시아, 이슬람권, 아프리카 외교정책 4. 소결 제5장 ‘유라시아경제연합’이 한국의 중견국가 전략에 주는 함의 1. 러시아의 유라시아 경제통합의 배경과 전략 2. 유라시아경제연합(EEU)의 가능성과 한계 3. 경제적 관점에서 한국과 관세동맹(CU)의 협력효과 가. 한국과 3국 관세동맹의 수출입 추이 나. 유라시아 경제통합과 한국의 경제협력 4. 소결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1. 중견국가의 자격 2. 중견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사상적 배경의 필요성 3. 소프트파워를 통한 외교전략 4. 틈새외교전략(Niche diplomatic strategy) 5. 기여외교와 다자주의를 결합한 외교전략 수립 6. 독립적인 국제행위자로서의 이미지 구축 7. EEU에 대한 적극적 대응의 필요성: 유라시아 대륙 외교를 위한 방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