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기후환경정책연구 2014-01An environmental outlook of Korea - KEI integrated assessment model build up
중장기 환경전망 및 대응전략 - KEI 통합환경모형(Integrated Assessment Model) 연구: 환경・경제의 상생기반 구축 및 잠재력 활성화
- 저자
- 강성원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세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86 p. 도표 그래프 26 cm
- 총서사항
- KEI 기후환경정책연구 2014-0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69-75)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43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43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3. 연구내용 및 방법
4. 본문의 구성
제2장 통합모형 구축 방안
1. 통합환경모형 소개
2. 연계방식
가. 부문별 모형
나. 부문별 산출 및 투입
다. 순환-기후변화 부문 내생화 문제
라. 영향부문과 배출부문의 연계: 대기질·수질 모형을 중심으로
3. 요약 및 결론
제3장 통합환경모형 적용 예: 비산업부문 환경오염물질 배출량 분석
1. 비산업부문 배출량 개관
2. 모형 소개
3. 비산업부문 배출량 분석
가. 분석자료
나. 모형
4. 전망 및 정책실험
가. 전망
나. 정책 실험: 탄소세 부과
5. 소결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CGE 모형의 방정식 체계 변화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