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4-12Improvements to harmful algal bloom management framework and policy to reflect changes in water environment and climate
물환경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유해녹조 대응체계 및 정책 개선방안 연구
- 저자
- 한혜진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246 p. 도표 그래프 25 cm
- 총서사항
- KEI 연구보고서 2014-12
- 서지주기
- 참고문헌(p.219-233)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45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45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주요 연구내용 및 연구체계
가. 주요 연구내용 및 보고서 체계
나. 연구방법
제2장 유해녹조 원인 및 영향
1. 유해녹조의 정의
2. 유해녹조 발생의 원인
가. 주요 원인
나. 기후변화가 주요 원인에 미치는 영향
3. 유해녹조의 위험과 그 영향
가. 독성위험 및 영향
나. 유해녹조의 이취미(異臭味) 위험
다. 정수시설에 미치는 유해녹조의 위험 및 영향
라. 생태계에 미치는 유해녹조의 위험 및 영향
4. 정책적 시사점
가. 유해녹조 피해 보고체계 수립의 필요성
나. 유해녹조 위험관리체계 수립 및 보완 필요성
제3장 유해녹조 위험인식과 소통
1. 개요
2. 위험과 위험관리, 위험 인식과 소통
가. 위험의 정의 및 유형
나. 위험인식
다. 위험의사소통
3. 녹조 위험인식 및 위험의사소통
가. 개요
나. 녹조 위험인식 설문조사
다.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빅데이터 분석
라. 녹조 관련 언론 보도
마. 유해녹조 위험의사소통
4. 시사점
제4장 유해녹조 위험관리체계
1. 개요
2. 유해녹조 위험관리체계(Harmful Algal Bloom Risk Management Framework)
가. 위험관리(risk management)의 일반적 정의
나. 유해녹조 위험관리체계 정의
다. 유해녹조 위험관리체계 요소
3. 국내 유해녹조 관리 정책현황
가. 국내 유해녹조 관리 연혁
나.「조류경보제」와「수질예보제」
다. 대응 지침과 가이드라인
4. 국내 유해녹조 관리 문제점 및 개선안
가. 국내 유해녹조 위험관리체계 내의 유해녹조 관리 분석
나. 준비 단계의 문제점 및 개선안
다. 대응 단계의 문제점 및 개선안
라. 복구와 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안
마. 소통과 참여의 문제점 및 개선안
제5장 유해녹조 위험관리 종합대책(안)
1. 개요
2. 유해녹조 위험관리 종합대책의 정책 방향
가. 유해녹조 위험관리체계를 반영한 유해녹조관리 기본계획 및 세부시행계획 수립
나. 친수활동 보호기능 추가
다. 조류독소를 경보 기준으로 추가
라.「조류경보제」 대상지역 확대추진
마. 유해녹조 위험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리스크 프로파일 작성
바. 유해녹조 위험의사소통전략 마련
3. 조류경보제 시행계획 개선(안)
가. 유해녹조관리 기본계획 수립
나. 친수 목적 이용 관리 추가
다.「조류경보제」 개선
라. 리스크 프로파일 작성
마. 위험인식 및 위험의사소통 방안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