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57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57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구성
제2장 경제의 고용창출력과 산업 고용변화의 요인분석
1. 경제의 고용창출력 평가
(1) 경제의 고용창출력과 경제활동인구의 활용도
(2)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고용구조 변화와 일자리창출력 평가
2. 산업별 고용변동의 요인분석(1)
(1) 접근방법
(2) 우리나라의 고용변화 분해 결과
(3) 산업 고용변화요인의 국제비교
3. 산업별 고용변동의 요인분석(2)
(1) 접근방법
(2) 고용변동요인 분해 결과
제3장 노동시장의 일자리창출 여건과 정책방향
1. 고용의 미스매치
(1) 숙련의 미스매치
(2) 보상·정보의 미스매치
(3) 공간의 미스매치
(4) 고용의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정책방향
2. 연령별 고용구조
(1) 고령화
(2) 청년실업
3. 근로시간별 고용구조
(1) 장시간 근로
(2) 파트타임
제4장 투자 및 기술혁신의 일자리창출 여건과 정책방향
1. 국내 설비투자
(1) 국내 설비투자 현황
(2) 국내투자의 부진 요인
(3) 설비투자와 고용 간 관계와 시사점
(4) 일자리창출을 위한 설비투자 정책 방향과 과제
2. 국제투자
(1) 글로벌화의 진전과 고용
(2) 연구방법
(3) 분석결과
(4) 정책 방향 및 과제
3. 기술혁신
(1) 기술혁신의 일자리창출 경로
(2) 연구개발투자 및 사업화 현황
(3) 기술혁신의 일자리창출 효과
(4) 일자리창출을 위한 기술정책 방향과 과제
제5장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고용구조와 일자리창출 정책방향
1. 제조업의 고용구조 변화와 일자리창출 정책방향
(1) 제조업의 성장과 구조변화
(2) 국내 제조업의 고용구조 변화 분석
(3) 제조업 고용부진 원인 분석
(4) 7대 주력산업의 고용친화적 유망 분야 도출
(5) 고용친화적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2. 서비스업의 고용구조 변화와 일자리창출 정책방향
(1) 서비스산업의 구조와 향후 여건변화
(2)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고용 현황과 특성
(3) 고용변동요인 분석 및 시사점
(4) 일자리창출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제6장 중소기업과 지역산업의 고용구조와 일자리창출 정책방향
1. 중소기업의 고용변화와 일자리창출 전략
(1) 중소기업의 고용증가 실태 및 세 가지 논점
(2) 중소기업의 일자리창출 전략
(3) 현행 중소기업 인력지원정책의 문제점
(4) 중소기업의 인력난 대응 실태
(5) 결론: 향후 정책과제
2. 지역산업의 고용 동향과 일자리창출 정책방향
(1) 지역산업의 성장 추이와 성장유형 분석
(2) 지역산업의 고용 동향
(3) 지역별 일자리 동향의 특징과 시사점
(4) 지역산업의 일자리창출을 위한 기본방향
(5) 주요 정책과제
제7장 일자리창출을 위한 새로운 산업발전전략과 정책방향
1. 경제의 일자리창출 여건 평가
(1) 성장잠재력과 고용의 동반 부진
(2) 경제의 일자리창출력 저하
(3) 낮은 고용률과 노동시장의 여건
(4) 경제 부문별 고용의 질적 구조와 여건
2. 일자리창출을 위한 새로운 산업발전전략
(1) 경제 부문별 관점 : 경제 부문별 산업발전의 기본전략
(2) 제도적 관점 : 성장원천의 활력 제고와 내수활성화를 위한 제도 구축
(3) 산업발전과 일자리창출의 선순환 관점 : 산업발전과 일자리창출 간 선순환 전략
3. 일자리창출을 위한 산업정책 방향과 과제
(1) 경제 부문별 산업정책 방향과 과제
(2) 성장원천의 활력 제고와 내수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3) 산업발전과 일자리창출의 선순환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