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529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529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기존 연구 검토
3. 연구 범위와 방법
가. 연구 범위
나. 연구 방법
다. 연구의 접근법
라. 시나리오의 구체화와 반증 가능성
제2장 분석틀: 인과기제, 조건 그리고 주관적 노력
1. 이론적 배경
2. 형태발생론과 이원론에 입각한 ‘인과 기제, 조건 그리고 주관적 노력에 따른 동북아 지역 질서 변화의 동학’ 분석틀
3. 소결
제3장 중국-한반도 관계: 한국전쟁~2017년
1. 중국-한반도 관계: 1953~91년
가. 냉전 시기 동북아 안보구조
나. 냉전 시기 중국-한반도 관계
2. 중국-한반도 관계: 1992~2017년
가. 절반의 탈냉전 시기 동북아 안보구조
나. 절반의 탈냉전 시기 중국-한반도 관계
3. 소결
제4장 동북아 안보구조의 변화와 중국-한반도 관계
1. 동북아 안보구조의 변화
가. 글로벌 안보구조의 변동
나. 한반도의 정세 변화
다. 한국의 입장과 국익
2. 동북아 안보구조의 시나리오
가. 시나리오 Ⅰ: 필요적이고 양립 가능
나. 시나리오 Ⅰ의 변형: 필요적이고 양립 불가능
다. 시나리오 Ⅱ: 조건적이고 양립 불가능
라. 시나리오 Ⅱ의 변형: 조건적이고 양립 가능
3. 소결
제5장 시나리오별 대응 방향과 과제
1. 시나리오 Ⅰ: 동북아 안보환경의 긴장 완화와 행위자 자율성 증대
가. 기본 현황 및 전략 목표
나. 분야별 대응 방향과 과제
2. 시나리오 Ⅱ: 동북아 안보환경의 긴장 극대화와 진영 논리의 강화
가. 기본 현황 및 전략 목표
나. 분야별 대응 방향과 과제
3. 소결
제6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