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P 연구자료 19-06Myanmar's Experience of Normalization of Foreign Re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North Korea
미얀마의 대외관계 정상화 경험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 발행사항
-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
- 형태사항
- 184p 도표 23cm
- 총서사항
- KIEP 연구자료 19-06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70-178)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543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543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들어가면서
2. 연구의 내용, 범위와 방법론
가. 연구 내용
나. 연구 범위와 방법론
제2장 미얀마의 정치·경제
1. 정치 현황
가. 국내 정치
나. 대외관계
2. 경제 현황
가. 거시경제 전반
나. 교역 및 투자
다. 투자 및 비즈니스 환경
제3장 對미얀마 경제제재의 효과 및 북한과의 비교
1. 對미얀마 경제제재 배경
가. 역사적인 배경(1988년 이전)
나. 직접적인 배경(1988년 이후)
2. 對미얀마 경제제재 내용과 영향(1989~2012년)
가. 제재의 내용과 주요 평가
나. 對미얀마 제재 종합
3. 對북 경제제재와의 비교 및 시사점
가. 대북제재의 내용 및 경제적 효과
나. 북한과 미얀마의 비교
제4장 미얀마 경제제재 해제와 경제적 효과
1. 경제제재 해제 과정과 주요 쟁점
가. 제재 해제의 배경
나. 제재 해제의 과정과 특징
다. 남겨진 쟁점과 제재 재개의 가능성: 소수민족 문제
2. 경제제재 해제 이후 미얀마 경제 변화
가. 주요 경제지표 변화
나. 주요 국가 및 국제기구와의 협력
제5장 제재 해제 전후 미얀마의 경험이 북한에 주는 시사점
1. 미얀마의 체제전환에서 남겨진 과제와 도전
2. 미얀마 사례가 북한에 주는 시사점
가. 단계적 제재 해제 방식의 채택
나. 빠른 제재 해제로 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 해소
다. 인적자원 준비와 사회적 인식의 변화 필요
라. 대외관계의 효과적인 활용
3. 비핵화 협상 전망
4. 연구의 한계와 후속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