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국토연구보고서 12-06-012012-51Advanced water resource management of green growth‧area wide‧intergration period(II) :policy to enhance water allocation rationality
녹색성장‧광역‧통합시대의 선진적 수자원 관리방안(II): 물 배분의 합리성 제고 정책
- 단체저자
- K-water연구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국토연구원
- 발행사항
- 안양 국토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xxxi 201 p. 일부채색도표 26cm
- 총서사항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국토연구보고서 12-06-01 2012-51
- 원표제
- Advanced water resource management of green growth‧area wide‧intergration period(II) : policy to enhance water allocation rationality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63-171)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54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54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Ⅰ.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 연구의 추진체계
Ⅱ. 물배분 여건변화와 현황분석
1. 물배분의 여건변화
2. 물배분·이용의 유역간 비교
3. 기후변화와 취약계층
Ⅲ. 물배분 제도와 외국사례 조사·분석
1. 우리나라의 물배분 제도
2. 물배분 관련 갈등·분쟁 사례
3. 외국의 물배분 제도
Ⅳ. 물 공급제약에 따른 경제적 효과분석
1. 물공급 제약에 따른 산업별 국내총생산 변화 추정
2. NLP(비선형계획) 모형을 활용한 물 배분의 경제적 효과 분석
3. 기후변화 취약계층 사례지역 현황분석
4. 기후변화 취약계층 사례지역 실측 및 설문조사
Ⅴ. 용수배분의 효율성 제고와 법·제도 개선방안
1. 용수배분의 효율성 제고와 법·제도 정비의 기본방향
2. 용수배분의 효율성 제고와 정책·제도 정비 방안
Ⅵ. 결론 및 향후 과제
1. 연구의 결론 및 정책제언
2. 연구의 성과와 향후 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록
부록 1: 광역상수의 용도별 배분량과 사용량
부록 2: 전국 물산업연관표
부록 3: 수자원 공급 제약에 따른 산업별 GDP의 변화
부록 4: NLP 모형 관련 자료 및 세부 분석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