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국가 녹색성장 기반 구축과 잠재력 활성화KEI-a 녹색성장연구 2012-03A Feasibility Study on Eo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for Promoting Resource Recovery from Industrial Organic Wastes
산업계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촉진방안 연구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176 p. 삽화 도표 26cm
- 총서사항
- 국가 녹색성장 기반 구축과 잠재력 활성화 KEI-a 녹색성장연구 2012-0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59-161) 수록
- 키워드
- 유기성 산업계 폐기물, 혐기성 소화, 비용-편익 분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43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43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 주요 현황
1. 사업장 유기성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가. 전국 사업장 유기성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나. 지역별 사업장 유기성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2. 사업장 유기성폐기물 자원화 현황
가. 퇴비
나. 사료
다. 소각열회수
라. 바이오가스
3. 사업장 유기성폐기물 자원화 정책 현황
가. 제2차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수정계획)
나. 제4차 자원재활용기본계획
다. 폐기물 에너지화 종합대책
라.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
마. 폐기물처리시설 최적화 전략
바. 유기성폐기물 해양배출 금지 관련 정책 현황
제3장 자원화 방법별 환경적 적용성
1. 환경적 적용성 검토 개요
2. 퇴비 이용
가. 물질특성에 따른 검토
나. 자원화 과정에서의 문제점 검토
다. 확대 이용 가능성 검토
3. 사료 이용
가. 물질특성에 따른 검토
나. 자원화 과정에서의 문제점 검토
다. 확대 이용 가능성 검토
4. 소각열회수
가. 물질의 특성에 따른 검토
나. 자원화 과정에서의 문제점 검토
다. 확대 이용 가능성 검토
5. 바이오가스화
가. 물질특성의 특성에 따른 검토
나. 자원화 과정에서의 문제점 검토
다. 확대 이용 가능성 검토
6. 고형연료 이용 방안
가. 자원화 관련 규정
나. 물질 특성에 따른 검토
다. 자원화 적용 방안
7. 생활계 유기성폐기물과의 혐기성 병합 소화 처리 방안
가. 기술적 타당성
나. 사업장 유기성폐기물과 병합 소화 시 고려사항(공정 운영 상, 소화액비 처리 문제)
제4장 유기성폐기물 자원화의 경제성 분석
1. 경제성 분석을 위한 입력자료
가. 경제성 분석을 위한 기초 입력자료
나. 경제성 분석 입력자료
2. 기본모형: 100톤/일 규모 설비를 가정 경우의 경제성 분석 시뮬레이션
가. 기본모형: 100톤/일 규모 설비의 경제성 분석
나. 기본모형에 대한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
다. 지역별 폐자원 발생량을 고려한 경제성 분석
라. 사업장 유기성 폐기물을 활용한 퇴비를 생산할 때의 경제성 분석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환경적 적용성 검토 결론 및 정책제언
2. 경제성 분석을 통한 정책제언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