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2-05Green Economy in the Context of Rio+20 :Issues and implications for National Strategies
Rio+20 녹색경제 의제에 관한 국가비전 및 발전방안 연구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185 p. 26cm
- 총서사항
- KEI 연구보고서 2012-05
- 서지주기
- 참고문헌(p.95-100)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41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41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주요 연구내용
3.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Rio+20 녹색경제 의제채택 배경
1. 지속가능발전과 녹색경제
2. 녹색경제와 녹색성장에 대한 국제논의의 발전
가. 유엔 아태지역 경제사회위원회(UNESCAP)의 서울 이니셔티브
나. 유엔환경계획의 녹색경제 이니셔티브
다. 경제협력개발기구의 녹색성장 전략
라. 세계은행의 녹색성장 전략
마. 글로벌 지속가능성 고위급 패널(GSP)의 지속가능한 경제
3. 평가 및 시사점
제3장 Rio+20 녹색경제 논의의 주요 쟁점
1. 녹색경제의 개념 정립
2. 리우 원칙의 적용
3. 녹색경제의 이행 원칙
4. 녹색경제 로드맵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
5. 녹색경제를 위한 GDP 대안 지표 6. 지속가능한 생산 및 소비
제4장 주요국의 국가비전 및 대응입장
1. 유럽연합
2. 영국
3. 미국
4. 일본
5. G77과 중국
6. 한국
제5장 Rio+20의 세부 이행과제와 녹색경제
1. 산업 부문별 이행과제
가. 농업
나. 관광
다. 교통
라. 광산업
마. 지속가능한 생산 및 소비
2. 자연 자본과 환경
가. 해양과 바다
나. 산림
다. 생물다양성
라. 재해 위험
마. 기후변화
바. 사막화
사. 산지
아. 유해물질과 폐기물
자. 물과 위생
차. 에너지
3. 인적 자본과 삶의 질
가. 고용
나. 보건 및 인구
다. 교육
라. 도시 및 거주지
마. 양성 평등과 여성 권익 신장
4. 형평성 제고
가. 빈곤퇴치
나. 군소도서개도국
다. 최빈개발도상국
라. 내륙최빈개도국
마. 아프리카
바. 지역적 노력
제6장 · Rio+20의 결과와 녹색경제의 발전방향
1. Rio+20을 통한 녹색경제의 글로벌 의제화
2. Rio+20 이후 글로벌 녹색경제 이행전망 및 시사점
3. Rio+20 이후 녹색경제의 발전과 한국의 대응
참고문헌
<부록> Rio+20 정상선언문 전문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