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T Issue Paper 2012-297
전력수급 균형 및 스마트그리드 활성화를 위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 저자
- 고동수
- 단체저자
- 산업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산업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80 p. 그래프 24cm
- 총서사항
- KIET Issue Paper 2012-297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80)수록
- 키워드
- Electricity, Green Economy Energy, Smart Grid, 저탄소 녹색성장, 전력시스템, 클린에너지, 녹색경제, 녹색에너지, 녹색전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 에너지인터넷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22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22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개념 및 기술
1. 전기와 저장
(1) 전기의 기본 특성
(2) 에너지저장시스템의 개념
2. 에너지저장기술
(1) 주요 에너지저장기술 및 특징
(2) 세계 기술개발 동향 및 전망
제3장 에너지저장시설(ESS)의 현황
1. 에너지저장시설의 시장
(1) 개요
(2) 에너지저장시설의 수요 범위
2. 에너지저장시설의 국내외 시장규모 및 전망
(1) 국내 시장
(2) 해외 시장
3. 에너지저장시설의 장점 및 장애요인
(1) 에너지저장시설의 장점
(2) 에너지저장시설 구축의 장애요인
제4장 주요 선진국의 에너지저장 정책 및 규제
1. 미국 캘리포니아의 에너지저장 정책 및 규제
(1) 캘리포니아의 청정에너지 정책 추진
(2) 입법부 명령(Legislative Mandates) : AB 2514, AB 32,
그리고 California's RPS
(3) 에너지저장 관련 제도 및 규제 정책
2. 독일
3. 일본
4. 호주
5. 중국
제5장 ESS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1. 에너지저장시설에 대한 법적 개념 정립 및 규정의 마련
2. 에너지저장시설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의 마련
3. 스마트그리드 거점지구에 에너지저장시설 도입의 확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