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2-07Development of National Strategy to Enhance International Environment Cooperation

국제환경협력사업 내실화를 위한 국가전략 개발

발행사항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형태사항
169 p. 도표지도(일부채색) 26cm
총서사항
KEI 연구보고서 2012-07
서지주기
참고문헌(p.133-137)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241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241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제2장 국제환경협력사업의 형성배경 및 유인 구조분석 1. 국제환경협력사업의 발생원인 가. 개발도상국의 환경문제와 수요 나. 국제환경협력의 국내적 형성 배경 2. 환경분야 지원 사업 사례분석 가. 임업 사업 나. 환경 질 개선 사업 다. 신재생에너지 사업 3. 사업 단계별 협력관계 성패요인 가. 단계별 분석 나. 분석결과 제3장 국제환경협력사업 추진 현황 1. 유형분석체계 가. 원조의 형태 나. 주요 분류 기준에 따른 사업 유형 정리 2. 우리나라 국제환경협력사업 현황 3. 우리나라의 주요 국제환경협력 수행 기관 가. 한국국제협력단 나.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다. 한국환경공단 라. 대외경제협력기금 4. 선진국의 환경협력사업 현황 가. 일반 현황 나. 일본 다. 독일 라. 미국 마. 덴마크 5.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GAP 분석 가. 규모 나. 분야 6. 시사점 제4장 국제환경협력사업의 유형 분석 1. 평가기준 구조 분석 가. OECD/DAC의 개발협력에 대한 5대 평가기준 나. 우리나라의 평가기준 다. 우리나라 국가환경협력 사업의 평가 및 사후 관리 2. 평가기준 체계 개발 가. 내부적 요건으로서 선진 한국형 평가체계 마련 나. 외부적 요건: 수원국 및 국제기구와 다각적인 협력 3. 선진국의 평가기준 가. 일본 JICA의 평가제도 나. 덴마크 DANIDA의 평가체계 4. 국제환경협력 평가의 결과 5. 환경협력 사업 평가 사례 가. KOICA 케냐 식수개발사업 나. EDCF 스리랑카 Galle 광역시 상수도 개발사업 다. 평가 제언 제5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