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5-761Policy Issues and Recommendation for Korean Environmental Industry’s Global Market Penetration
환경산업의 글로벌시장 진출을 위한 정책과제
- 발행사항
- 세종 산업연구원 2015
- 형태사항
- 201 p. 도표 그래프 24 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5-76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89-190)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409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409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2. 연구방법
3.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 선행연구 및 차별성
(2) 연구의 착안점
제2장 환경산업의 수출 현황 및 평가
1. 국내외 환경산업 현황
(1) 세계
(2) 국내
2. 환경산업 수출 추이 및 구조
(1) 환경산업 수출 구조
(2) 환경기술수출
(3) 한계 및 시사점
3. 선진국의 환경산업 (수출)지원제도
(1) 미국
(2) EU 및 독일
(3) 일본
(4) 시사점
4. 주요 정책이슈
(1) 일반 사항
(2) 글로벌화 촉진을 위한 중소기업 지원 정책의 이슈
제3장 지원사업 운용 현황 분석 및 정책 시사점
1. 분석대상 사업의 구분 및 자료
2. 전체 지원 현황
3. 사업 추진 및 사후관리 체제
4. 맞춤형 단계별 지원
5. 정책적 시사점
제4장 환경기업의 글로벌화 활동 및 지원 사업 활용실태
1. 분석 방법
2. 전략적 특성
3. 정부지원 사업 인지 및 활용
4. 환경부 지원사업 만족도
5. 정책 지원 관련 의견
제5장 환경산업 SD 모델 구축 및 분석
1. 기존 SD 모델의 구조와 특징
(1) 시스템 다이내믹스 개요
(2) 시스템 다이내믹스 적용 사례와 참고 사항
2. 환경산업 분석을 위한 SD 모델 구축
(1) 모델 범위 설정
(2) 인과지도 설정
3. 환경산업 정책효과 분석
(1) 최적 환경산업 지원정책 포트폴리오 도출
(2) 환경산업 지원정책 포트폴리오 분석의 시사점
제6장 환경산업 글로벌화 지원 효율화를 위한 정책과제
1. 환경 중소기업 지원에 대한 정체성 제고
2. 환경기업 전용의 맞춤형 지원체제 확충
3. 정책 연계를 통한 원스톱 지원 강화
4. 기업지원 효과 제고 방안 강구
5. 글로벌 지향성 기반의 기술개발 지원 강화
6. 환경산업 특성을 감안한 지원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