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KIET 연구보고서 15-41-032015-778Analysis of China Market and Entry Strategy for Emerging Industries : Focusing on Future Growth Engines
주요 제품별 중국 내수시장 진출 방안: 미래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 발행사항
- 세종 산업연구원 2015
- 형태사항
- 213 p. 도표 삽화 24 cm
- 총서사항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KIET 연구보고서 15-41-03 2015-778
- 서지주기
- 참고문헌(p.204-210)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402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402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요약
제1장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 및 향후 연구 계획
(1) 연구 범위
(2) 향후 연구 계획
제2장 산업 트렌드의 변화와 한중 경쟁력 비교분석
1. 제조업의 향후 진화 방향
(1) 글로벌화와 지식기반사회의 진전에 따른 개방형 혁신 본격화
(2) 가치사슬의 붕괴 및 재편화
(3) 제조혁신을 선도할 스마트 공장 및 스마트 제조
(4) 개인화 및 대량맞춤화 촉진
(5) 산업의 대변혁기 도래를 촉진하는 기술의 진화
2. 주요국의 제조업 발전 및 신성장산업 육성 전략
(1) 주요 제조강국의 대응
(2) 글로벌 기업의 신사업 전략
3. 한·중 산업경쟁력 비교
(1) 기술경쟁력
(2) 혁신역량 및 혁신환경
제3장 신산업 및 주력산업 분야의 미래성장동력 현황과 대응방향
1. 중국 웨어러블기기의 개발동향과 대응방향
(1) 웨어러블기기의 부상
(2) 웨어러블기기 산업의 전망과 경쟁구조
(3) 중국의 산업 발전전략과 기술수준
(4) 시사점 및 전략
2. 중국 스마트 자동차 개발 동향과 대응방향
(1) 스마트자동차의 부상과 특징
(2) 시장동향 및 전망
(3) 최근 기술개발 및 정책 동향
(4) 한·중 경쟁력 비교 분석
(5) 정책적 대응방향
3. 중국 무인이동체 산업 동향과 우리의 대응방향
(1) 무인이동체시스템의 급성장과 특징
(2) 최근 기술개발 및 산업 동향
(3) 한·중 경쟁력 비교 분석
(4) 정책적 대응방향
4. 한·중 5G이동통신 기술개발 현황과 대응방향
(1) 5G 이동통신 개발 필요성과 산업적 특성
(2) 최근 기술 개발 및 산업 동향
(3) 한·중 경쟁력 비교 분석
(4) 정책적 대응방향
제4장 헬스케어 및 기반산업 분야의 미래성장동력 현황과 발전방향
1. 한·중 맞춤형 웰니스케어 산업동향 및 발전전략
(1) 맞춤형 웰니스케어 산업의 정의 및 성장배경
(2) 맞춤형 웰니스케어 관련 정책 현황
(3) 중국의 시장 현황
(4) 한·중 기술수준 비교
(5) 한·중 협력 확대 방안
2. 중국 타이타늄 금속재료 시장 동향과 대응방향
(1) 소재산업 특징
(2) 타이타늄계 재료의 특징과 관련 시장
(3) 중국에서의 관련 시장
(4) 중국에서의 관련 정책
(5) 정책적 대응방향
3. 지능형반도체 산업의 한·중 비교와 발전과제
(1) 산업여건 및 지능형반도체의 개념
(2) 지능형반도체 시장 및 정책 동향
(3) 중국 지능형반도체 현황
(4) 정책적 대응방향
4. 중국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과 대응방향
(1) 사물인터넷의 정의와 전망
(2) 중국 사물인터넷 산업의 발전 요인
(3) 한국과 중국의 사물인터넷 산업 비교
(4) 정책적 대응방향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