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065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065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기존 연구의 검토 및 문제 제기
가. 기존 연구의 검토
나. 문제 제기
제2장 중국의 경기순환과 특징
1. 중국의 경기순환 및 특징
가. 중국의 경기순환
나. 중국 경기순환의 특징
2. 중국 경기지표의 동향과 특징
제3장 중국의 거시경제정책 결정구조와 과정
1. 거시경제정책 결정주체
가. 공산당의 정책결정기구
나. 국무원(행정부)의 정책결정기구
다. 거시경제정책 집행기구
2. 거시경제정책 결정구조와 과정
가. 주요 당정회의와 거시경제정책 결정구조
나. 거시경제정책 결정과정
3. 거시경제정책 결정사례
가. 금융위기 전후 통화정책의 결정 및 조정과정
나. 제12차 5개년계획 제정과 중장기정책 결정과정
제4장 거시경제정책 운용의 구조적 변수
1. 정책목표의 특수성
가. 고성장 압력
나. 디플레이션 경제의 종료 가능성
다. 환율정책의 특수성
라. 장기 전략적 고려
2. 구조적 특수성
가. 중국 민간소비의 구조적 특징
나. 산업정책적 고려: 과잉생산 및 산업구조조정
다. 성장기 자산시장의 특수성: 부동산시장
라. 재정정책과 재정건전성
제5장 중국의 거시조절정책(宏观调控) 사례
1. 경기 상승기의 거시조절정책 사례
가. 긴축 통화정책 및 산업구조 조정
나. 안정적인 기조하의 ‘확대’ 재정정책
다. 기타 경기 상승기의 거시조절 조치
2. 경기 하강기의 거시조절정책 사례
가. 적극적 재정정책의 시행
나. 적절히 완화된 통화정책의 시행
다. 산업진흥정책의 시행
제6장 결론: 경기순환 및 거시정책의 특징과 시사점
1. 요약과 평가
2. 시사점과 대응전략
가. 중국경제의 변화와 한국경제: 수출을 통한 연결
나. 내수를 강조하는 ‘발전전략 전환’의 이해 및 활용
다. 구조적 특수성에 대한 이해
라. 정책결정과정 및 지표발표 모니터링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