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국토연구보고서 2011-50Development issues of the growth centers in North Korea for preparing Korean unification(Ⅰ)
통일 한반도 시대에 대비한 북한 주요 거점의 개발잠재력과 정책과제(Ⅰ)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55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55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 국내외 주요 선행연구 현황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 연구의 체계
2 북한 도시개발잠재력 분석을 위한 접근방법
1. 체제전환국 사례를 통한 도시개발 과제의 도출
1) 체제전환과 도시변화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
2. 지리정보 분석을 통한 도시개발잠재력 분석방법
1) 토지적성평가방법
2) AHP 다기준평가법의 혼합방법
3) GIS 기반 특정입지여건 분석방법
3 남포와 신의주의 실태와 개발잠재력
1. 남포와 신의주의 분석대상 거점 선정과정
1) 북한의 주요 거점
2) 남포와 신의주의 선정 이유
2. 남포의 실태
1) 일반현황
2) 지형
3) 토지이용
4) 산업 ...
5) 기반시설
6) 주거실태
7) 주민생활
3. 신의주의 실태
1) 일반현황
2) 지형
3) 토지이용
4) 산업
5) 기반시설
6) 주거실태
7) 주민생활
4. 남포와 신의주의 도시 지리정보 비교
1) 지형 비교
2) 토지이용 및 기반시설 비교
5. 남포와 신의주의 미래 개발잠재력 분석
1) 체제전환 측면에서의 개발잠재력
2) 지경학적 측면의 개발잠재력
3) 남포와 신의주의 토지개발잠재력
4 남포와 신의주의 장기 도시개발 과제
1. 북한의 변화 시나리오 ... 189
1) 체제전환 시나리오
2) 사유화와 민영화 시나리오
2. 전체적인 북한 도시개발의 과제
1) 도시공간구조 재편
2) 토지이용
3) 기반시설
4) 재개발
5) 이전적지 활용
6) 신개발
7) 도시개발행정
8) 재원조달
3. 남포의 도시발전 전망과 도시개발 과제
1) 도시발전 및 도시공간구조 전망
2) 도시개발의 핵심 과제
4. 신의주의 도시발전 전망과 도시개발 과제
1) 도시발전 및 도시공간구조 전망
2) 도시개발의 핵심 과제
5. 소결
5 남포와 신의주의 개발을 위한 중단기 남북협력 과제
1. 남북협력의 핵심과제
1) 특구개발과 연계한 도시개발
2) 도시개발을 위한 효율적 추진체계 구축
3) 북한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와 우리 정부의 지원
2. 남포의 특구개발 관련 남북협력 과제
1) 특구개발방식 ... 246
2) 특구의 업종과 연계사업
3. 신의주의 특구개발 관련 남북협력 과제
1) 특구개발방식
2) 특구의 업종과 연계사업
3) 입지 및 소요비용
4. 우리 정부의 과제
1) ‘큰 그림’의 준비
2) 단계적인 대응전략 마련
5. 북한 당국의 과제
1) 관련 계획의 수립
2) 제도적 토대 마련
3) 인적 역량 구축
6 결론 및 정책 제언
1. 본 연구의 기대효과
2. 연구의 특징 및 한계
1) 연구의 특징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3. 정책 건의 및 맺음말
참고문헌
SUMMARY
부록